- 영문명
- A case study analysis of the teacher management system of foreign institutes for the dissemination of the national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노정은(Jung-eun Noh) 장미경(Mikyung Chang) 니콜라 프라스키니(Nicola Fraschini) 심지연(Jeeyun Sim) 이보라(Bora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8권 제2호, 81~11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해외 자국어 보급 기관에서의 교원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해외 자국어 보급의 대표 기관인 공자학원, 괴테 인스티튜트, 알리앙스 프랑세즈, 영국문화원, 일본국제교류기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미국 테솔 과정의 교원양성과정도 함께 살펴보았다. 조사는 2020년 10월~2020년 12까지 진행되었고, 조사 내용은 교원 양성, 교원 재교육 및 연수, 교원 채용, 교원 유형 및 직무, 자격 요건, 보수 및 처우, 교원 평가 및 관리에 관한 것을 살펴보았으며 서면 인터뷰 및 화상 인터뷰, 문헌 검토 및 기관 문의의 방식을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교원의 유형 세분화, 자격 연수및 직무 연수에 대한 논의 필요성, 양성과정 및 재교육과정의 체계화, 교원 복지 부분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사점은 향후 세종학당과 같은 한국어 보급 기관에서 교원을 운영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teacher management systems at foreign institutes engaged in the dissemination of their national language, and to draw overarching policy implications. The paper considers the cases of the Confucius Institute, the Goethe Institute, the Alliance Française, the British Council, and the Japan Foundation. The teacher-training programs organized by the US-based TESOL are also considered. Data were gathered between October and December 2020, and the data collection focused on teacher trai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recruitment, types and roles, qualifications, remuneration, benefits, and evaluation. Data were collected by different methods, such as written interviews, real-time online interviews, document analysis, and other materials obtained through requests to the institu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concern language teacher typology, the necessity of training, the systematization of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nd teacher welfare. The results can serve as basic reference materials for teacher management at institutes for the dissemination of the Korean language, such as the Sejong Institute.
목차
1. 서론
2. 해외 자국어 보급 기관과 교원
3. 해외 자국어 보급 기관의 교원 운영 분석
4. 해외 자국어 보급 기관의 교원 운영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선정 연구의 성과와 과제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어 쓰기 수업을 위한 LMS 활용 사례 연구 - 구글 클래스룸을 중심으로
- 음향자질 비교를 통한 한국어와 우크라이나어 자음 간 대응 양상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체 습득 연구 -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만족도에 매체 효능감,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 - 사회통합프로그램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누워서 떡 먹기’의 문화 요소 고찰
- 자국어 보급 기관에서의 교원 운영에 대한 해외 사례 분석 연구
- 텍스트 유형별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 말뭉치에 나타나는 ‘그러면’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