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이용수  5

영문명
A Study on the Semantic Function and Realization Aspect of ‘Geureonikka’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김도연(Doyeo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8권 제2호, 47~8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러니까’의 화용론적인 의미 기능을 유형화하고 문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용론적 중의성을 인지적 접근법으로 설명한 Sweetser(1990)의 이론을 살펴보고, 이것이 한국어 접속 부사 ‘그러니까’에 어떻게 대응되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그러니까’의 실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니까’와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이 상관관계가 있으며 연결 어미 ‘-니까’가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 형성의 동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그러니까’는 영어의 ‘because’와 마찬가지로 내용 영역과 인식 영역, 그리고 화행 영역 세가지 영역에서 모두 사용되었다. 셋째,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그러니까’는 인식 영역에서의 쓰임이 가장 활발하였으며 내용 영역에서의쓰임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미 기능에 따라 ‘그러니까’의 통사적 위치가 달라졌다. 본고는 대상 말뭉치의 장르가 한정되 었다는 점과 ‘그러-’ 계열의 다른 접속 부사들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니까’의 화용론적인 의미 기능을 유형화하고 문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러니까’의 실현 양상을 보여 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pragmatic-semantic function of ‘Geureonikka’ and to explore the pragmatic-semantic function and realization aspect of ‘Geureonikka’ through an analysis of a written Korean corpus. Therefore, Sweetser’s(1990) cognitive approach to the analysis of pragmatic ambiguity was examined, and his theory was applied to describe the realization aspect in a written Korean corpus of the conjunctive adverb ‘Geureonikka’. Subsequently, four findings were identified. First, the semantic function of ‘-nikka’ correlates with that of ‘Geureonikka’. and the connective ending ‘-nikka’ was verified as a cause for the semantic function formation of ‘Geureonikka’. Second, similar to ‘because’ in English, ‘Geureonikka’ was used in every domain: content connection, epistemic connection, and speech-act connection. Third, ‘Geureonikka’ in a written Korean corpus was extensively used in epistemic connection while it was infrequently used in content connection. Fourth, the syntactic position of ‘Geureonikka’ was determined by the semantic function of ‘Geureonikka’.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identified: (i) The analyzed genre of a written Korean corpus was limited, and (ii)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similar conjunctive adverbs to ‘Geureo’ to reveal their differences from ‘Geureonikka’. Nevertheles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the pragmatic-semantic function of ‘Geureonikka’ was classified and the realization aspect of ‘Geureonikka’ in a written Korean corpus was demonstrated. (Yeungnam University)

목차

1. 들어가기
2.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
3. 연구 절차 및 내용
4.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그러니까’의 실현 양상
5. 나가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연(Doyeon Kim). (2021).‘그러니까’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8 (2), 47-80

MLA

김도연(Doyeon Kim).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8.2(2021): 47-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