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Speaking Assessme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경(Kyung Lee) 성아영(Ahyoung S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8권 제2호, 199~245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있다. 이를 위해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126편을 연도별, 유형별, 주제별로 나누어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평가 관련 연구 성과가 누적되면서 연구 주제가 다소 세분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비중이 월등히 높았고, 연구가 학문 목적 학습자나 발음 영역 등 특정 분야에 다소 집중되어 있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에는 평가 대상을 고려한 평가 도구 개발이 필요하며 평가 내용 또한 다양화되어야 할 것이다. 필요에 따라 말하기 평가진행 시 듣기나 읽기 등의 언어 기능을 결합할 수 있을 것이고, 학습자의 특정 영역 언어 능력 측정에 효과적인 과제 유형에 대한 검증 또한필요할 것이다. 2022년 TOPIK 말하기 평가 시행을 앞두고 말하기 평가 관련 연구가 급증하는 현시점에서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을 살펴본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말하기 시험 시행 후 평가에서의 학습자 양상 연구나 평가 도구 개선 연구 등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Research on speaking assessment is rapidly increasing ahead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aking assessment section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n 20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speaking assessments. A hundred and twenty-six theses from graduate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by year, type, and topic. Although the research topic has been subdivided as the research results on assessment has accumulated, there still has been found higher portion of fundamental study for developing speaking assessment tools in the research, and there shows a tendency that the research is focused on the academic purpose learner in terms of assessment subject and on the pronunciation in terms of assessment contents. In the future, there are needs no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subject-oriented assessment tools, but also for the diversification of assessment contents including spoken grammar, vocabulary, and, pragmatics, as well as pronunciation. It could be possible to combine language functions like listening and reading with the speaking assessment and verify the type of tasks that can effectively measure the learner’s language ability in a specific area. After the speaking assessment has been implemented, studies on the assessment of learning patterns or improvement of assessment tools will be actively conducted. (Kyunghee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및 절차
3.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 분석 결과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선정 연구의 성과와 과제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어 쓰기 수업을 위한 LMS 활용 사례 연구 - 구글 클래스룸을 중심으로
- 음향자질 비교를 통한 한국어와 우크라이나어 자음 간 대응 양상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체 습득 연구 -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만족도에 매체 효능감,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 - 사회통합프로그램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누워서 떡 먹기’의 문화 요소 고찰
- 자국어 보급 기관에서의 교원 운영에 대한 해외 사례 분석 연구
- 텍스트 유형별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 말뭉치에 나타나는 ‘그러면’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