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조선 사진첩의 역사적 의미 - 『대일본제국조선사진첩(大日本帝国朝鮮写真帖)』(1910)을 중심으로

이용수  61

영문명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Korean Photo Album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ocusing on the 『Dai Nippon Teikoku Chōsen Shashin-chō』 (1910)
발행기관
한국교방문화학회
저자명
김상원(sang won Kim)
간행물 정보
『 교방문화연구』4권 3호, 281~29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1910년에 발행된 『대일본제국조선사진첩』을 중심으로, 일본 제국주의가 조선을 시각적으로 재현한 방식을 분석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고찰한다. 사진첩에 수록된 이미지는 조선의 주요 도시와 자연경관, 그리고 일상생활을 담고 있으며, 이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고자 하는 시각적 프로파간다로활용되었다. 특히, 이 사진첩은 조선을 일본의 문화적·경제적 우월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표현하여, 당시의 제국주의적 시각을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진첩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일본 제국주의의 시각적 전략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way in which Japanese imperialism visually represented Korea through the 『Dai Nippon Teikoku Chōsen Shashin chō』, published in 1910, and examines its historical significance. The album contains images of major cities, natural landscapes, and everyday life in Korea, which were used as visual propaganda to justify Japan’s colonial rule. In particular, the album portrays Korea in a manner that emphasizes Japan’s cultural and economic superiority, reflecting the imperialistic perspective of the time.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is photo album,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visual strategies employed by Japanese imperialism.

목차

1. 서론
2. 사진첩의 구조와 내용 분석
3. 일본 제국주의의 시각적 선전 전략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원(sang won Kim). (2024).일제강점기 조선 사진첩의 역사적 의미 - 『대일본제국조선사진첩(大日本帝国朝鮮写真帖)』(1910)을 중심으로. 교방문화연구, 4 (3), 281-297

MLA

김상원(sang won Kim). "일제강점기 조선 사진첩의 역사적 의미 - 『대일본제국조선사진첩(大日本帝国朝鮮写真帖)』(1910)을 중심으로." 교방문화연구, 4.3(2024): 281-2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