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30년대 대중가요 노랫말에 나타난 기생
이용수 134
- 영문명
- A Gisaeng who Appeared in the Lyrics of Popular songs in the 1930s
- 발행기관
- 한국교방문화학회
- 저자명
- 김예진(Yeajin Kim) 이수진(Sujin Lee)
- 간행물 정보
- 『 교방문화연구』4권 3호, 107~13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근대 신문, 잡지 등의 대중매체를 통한 기생 담론, 특히 기생 가수 담론의 생산은 음반 산업과 상업적으로 조우하면서 이른바 ‘기생붐’을 만들어낸다. 당시음반 기획 제작자들은 음반 소비 증대를 위해 대중들의 관심과 욕구를 예민하게살폈을 것이고, 그러한 세간의 관심은 곧장 대중가요 노랫말 속에 고스란히 반영될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도 기생을 소재로 한 노래를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데, 이들 대중가요 속에 당시 ‘핫토픽’이었던 기생은 과연 어떤 모습으로 재현되고 있었을까?
이 글에서는 대중가요 노랫말 고찰을 통해 기생을 향한 당대인의 시각과 인식을 살피고자 하였다. 근대 대중가요와 기생 가수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참조하면서, 연구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우선 한국 유성기 음반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대중가요 가운데 기생을 소재로 한노래의 현황을 목록화하였다. 다만 시기적으로는 1930년대 대중가요 노랫말로그 대상을 한정하였다. 기생들의 유성기 음반취입과 라디오 방송 출연 횟수가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연주되고, 권번 소속 예기에서 여류 음악가로성장하는 등 대중음악이 활발하게 확산된 시기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이어서 목록화된 1930년대 대중가요 노랫말 분석을 통해 기생을 바라보는 당대의 시각을1) 동정과 연민의 시선, 2) 순애보적 시선, 3) 비판적이고 풍자적인 시선으로 나누어 면밀히 분석해보도록 한다.
영문 초록
The production of parasitic discourse through mass media such as modern newspapers and magazines, especially parasitic singer discourse, creates a so called ‘gisaeng boom’ by commercially encountering the record industry. At that time, record planning producers would have been sensitive to the public’s interest and desire to increase record consumption, and such public interest had to be reflected directly in popular song lyrics. In fact, there are many songs about Gisaeng, and in these popular songs, how was Gisaeng, which was a ‘hot topic’ at the time, being reproduced?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the perspective and perception of the contemporary people toward Gisaeng through a review of popular song lyrics. The purpose of the discussion is to exp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subject while referring to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n modern popular songs and gisaeng singers. To this end, first, the current status of popular songs based on Gisaeng among popular songs provided on the Korean planetary record site was cataloged. However, the period limited the target to popular song lyrics in the 1930s. This is because it was a period when popular music actively spread, such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Gisaengs’ listening to voiced albums and radio broadcasts, various genres of music were played, and the growth of female musicians in Gwonbeon’s expectation. Next, through the analysis of popular songs in the 1930s, the perspective of the time on Gisaeng will be analyzed from various angles.
목차
1. 머리말
2. 1930년대 기생 소재 대중가요의 현황
3. 기생을 바라보는 당대의 시선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춘의 불안과 자기인식 - 황인찬 시집 「희지의 세계」를 중심으로
- 교방문화연구 4권 3호 목차
- 『명소구적안내(名所舊蹟案內)』 서지에 나타난 관광상품으로서의 기생학교
- 1930년대 대중가요 노랫말에 나타난 기생
- 유유헌(由由軒) 남급(南礏)의 삶과 저술활동(著述活動)
- 1960년대 무용의 사회 참여 형태와 연행 양상
- 동양고전에 나타난 토끼의 상징적 의미와 형상화 양상
- 한국 대중음악 공연의 발전 방향 연구 - 아이돌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조선 사진첩의 역사적 의미 - 『대일본제국조선사진첩(大日本帝国朝鮮写真帖)』(1910)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관광안내서 『조선보감(朝鮮寶鑑)』 연구
- 일제강점기 통영권번의 춤과 활동
- 동래권번의 역사적 배경과 주요인물 연구
- 김종삼 시에 나타난 환대의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