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대중음악 공연의 발전 방향 연구 - 아이돌을 중심으로
이용수 280
- 영문명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popular music performances
- 발행기관
- 한국교방문화학회
- 저자명
- 김동문(Dong Moon Kim)
- 간행물 정보
- 『 교방문화연구』4권 3호, 265~27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지속적인 세계진출에 따른 한국 아이돌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고 한국 아이돌의 공연 특징과 해외 유명 아티스트들의 공연 특징을 분석하여 차별점과 세계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자 한다. 이 분석을 기반하여 글로벌현지화 전략과 아이돌 공연콘텐츠의 성공 전략을 도출한다. 현재 전 세계인의 관심을 받고 있는 K-pop은 월드투어라는 명목으로 해외 공연들이 행해지고 있으나, 공연의 콘텐츠의 완성도와 콘셉트는 수준이 낮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로 공연콘텐츠의 품질과 팬덤을 문화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여한국 아이돌 공연콘텐츠의 진화를 지속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s the Korean popular music industry continues to advance into the world, we will find problems and areas for improvement for Korean idols, analyz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Korean idols and those of famous overseas artists, and examine their differences and glob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analysis, we will derive a global localization strategy and a success strategy for idol performance content. Currently, K-pop, which is receiving attention from people all over the world, is being held overseas under the name of world tours, but the completeness and concept of the performance content are evaluated as low. In order to improve this, we will study the quality of performance content and fandom from a cultural perspective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continued evolution of Korean idol performance content.
목차
1. 서론
2. 한국 아이돌 공연 현황 및 문제점
3. 아이돌 발전 전략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춘의 불안과 자기인식 - 황인찬 시집 「희지의 세계」를 중심으로
- 교방문화연구 4권 3호 목차
- 『명소구적안내(名所舊蹟案內)』 서지에 나타난 관광상품으로서의 기생학교
- 1930년대 대중가요 노랫말에 나타난 기생
- 유유헌(由由軒) 남급(南礏)의 삶과 저술활동(著述活動)
- 1960년대 무용의 사회 참여 형태와 연행 양상
- 동양고전에 나타난 토끼의 상징적 의미와 형상화 양상
- 한국 대중음악 공연의 발전 방향 연구 - 아이돌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조선 사진첩의 역사적 의미 - 『대일본제국조선사진첩(大日本帝国朝鮮写真帖)』(1910)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관광안내서 『조선보감(朝鮮寶鑑)』 연구
- 일제강점기 통영권번의 춤과 활동
- 동래권번의 역사적 배경과 주요인물 연구
- 김종삼 시에 나타난 환대의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