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성평등교육 수업 방안 탐색
이용수 192
- 영문명
- Exploring gender equality education teaching method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숙(Sung-su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3호, 53~7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성평등교육 수업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 교육부 초등 양성평등교육, 유네스코 포괄적 성교육 가이드라인 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은 교육부 초등 양성평등교육(5~6학년) 성취기준 Ⅱ-2를 제외한 모든 영역과 관계가 있었고, 유네스코 포괄적 성교육 가이드라인(9~12세) 핵심개념 7, 8을 제외한 모든 영역과 관계가 있었다. 이로써 실과교과는 성평등교육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평등교육 수업 방안 탐색을 위하여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 성취기준‘인간발달과 주도적 삶’에서 7개(6실02-01, 02, 03, 04, 05, 06, 07),‘기술적 문제해결과 혁신’에서 1개([6실03-02]),‘지속가능한 기술과 융합’에서 2개([6실04-02], [6실04-03])를 포함하였고, 포괄적 성교육에서 핵심개념 1~6을 포함하였고, 양성평등교육 성취기준 Ⅱ-2.를 제외하였다. 수업 방안은 실과교과의 가족, 진로, 식생활, 의생활, 기술 영역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평등교육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각각 하나의 수업으로써 또는 연계해서 수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7개의 주제의 활동 목표와 내용,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주제별 내용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중 성평등의 중요성을 알고, 생활 속에서, 미디어 매체에서 나타나는 성 고정관념, 젠더 불평등을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족 관계에서 성평등한 가족을 이루는 방법, 저출산과 성불평등과의 관계를 파악하도록 하였다. 진로 및 직업 선택에 있어서 성역할 고정관념이 작용하지 않고, 자신의 특성에 맞는 직업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의생활에서 성별 옷차림에 대한 편견을 줄이도록 하고, 식생활에서 성별에 따른 외모 강박, 미디어 등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섭식장애 등으로부터 자신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식사를 계획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발명사고기법과 기술적 문제 해결 과정을 이해하여 젠더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나 표지판을 발명해보도록 하였다. 디지털 기기, 콘텐츠 저작 도구를 사용하여 차별과 편견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을 미디어 컨텐츠로 만들고, 제작한 자료를 사이버 공간에 공유하도록 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는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에 따라 실과교과에서 성평등교육 수업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초등학생에게 적용하여 성고정관념 감소와 성평등 인식 향상 뿐 만아니라 행동, 실천적 측면 등에서 효과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gender equality education teaching methods in the context of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for 5th~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UNESCO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guidelines, a teaching plan was develop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ligns with all area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for 5th~6th grade students, except for standard Ⅱ-2. Similarly, it aligns with all core concepts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excluding concepts 7 and 8. This suggest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rew upo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Human Development and Leading Life' ([6:02-01, 02, 03, 04, 05, 06, 07]), 'Technical Problem Solving' and innovation' ([6:03-02]), and 'sustainable technology and convergence' ([6:04-02, 03]). These materials also incorporated areas 1-6 of comprehensive sex education, excluding Ⅱ-2 in gender equality education.
The developed class materials were designed to integrate gender equality education into various areas such as family, career, dietary life, clothing, and technology. Each lesson can be taught independently or in conjunction with others.
This study represents an initial explora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eaching method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Future research should involve applying these method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heir effects on reducing gender stereotypes, improving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nd influencing behavioral and practical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지능 시대의 기술철학 담론 - 인문학적, 공학적, 통합적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7권 제3호 목차
-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성평등교육 수업 방안 탐색
- 고등학교 기술과 <로봇 하드웨어 개발> 수업 사례연구 - 서울시 S지역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예비초등교사의 초등의생활 수업지도안 개발 연구
- 초등학교 실과와 학교 자율시간의 연계 방안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7권 제3호 판권
- 유럽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식생활 지침 개발 동향
-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 외 정규교과 연계 발명교육에서 교사의 지도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골프레이밍 이론을 통해 본 MZ세대의 농촌체험관광 프로그램 참여 동기 분석
- 구석기시대 섬유·직물에 관한 연구
-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에 기초한 2022 개정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가정생활 영역 분석
- 수시 개정 교육과정기 실과 검정 교과서 정보영역 단원의 체제 비교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 농업 영역의 내용 구성 방향
- 예비교사들의 전공별 원예교과통합적용 방식에 대한 연구
- H. Arendt의‘활동적 삶’관점에서 본 실과교육: 탐구대상으로서 인공세계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7권 제3호 논문 투고 규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