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 외 정규교과 연계 발명교육에서 교사의 지도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72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Linked to Regular Subjects Outside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원(Seung-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3호, 29~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실제 학교현장에서 교사가 실과교육과정 외 정규교과와 연계한 발명교육 지도를 어떻게 준비하고 실행하며 반성하는지를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심층 분석하여 다음의 연구문제에 답하고자 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 외 정규교과 연계 발명교육을 지도하는 교사 경험을 통해 알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 외 정규교과 연계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일반화된 적용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한국발명진흥회에서 2022년과 2023년에 개발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2종에 대하여 2024년 3월부터 7월까지 5개월동안 3개 학교 총 19명의 초등학교 교사가 수리형, 인문사회형, 예체능형으로 나누어 정규교과에서 발명수업을 진행하였다. 참여교사들의 수업결과보고서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정규교과에서 발명교육을 적용한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로 연구문제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 외 정규교과에서 발명교육 지도가 가능한지에 대한 적용 가능성과 일반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 등에 대하여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발명교육에 대한 지도의 어려움과 영재 및 특별한 대상만이 교육이 가능하다는 막연한 오해, 발명 관련 연수 경험 부족으로 인한 교수학습 노하우 부재 등이 수업 전 교사들의 부담감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규교과와 연계한 발명수업을 통해 적용 교사들이 일관되게 진술한 경험은 발명지도가 어려운 것이 아니며 학생들은 자신들이 생각한 것보다 더 참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였으며 즐겁고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사실이다. 이를 통해 발명교육이 실과교육과정 뿐만 아니라 다른 정규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지도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프로그램 일반화를 위한 내용의 수정,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여건 조성 등이 반드시 필요하며, 교사들이 수업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추가 교수학습자료의 제공과 발명 관련 연수 기회의 확대 등이 제공되어야 프로그램의 일반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교사의 발명수업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정책적·행정적 여건 조성과 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유인책 등의 제공이 정규교과와 연계된 발명교육의 성공을 좌우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case study analyzed how teachers prepare for, implement, and reflect on invention education integrated into regular subjects outside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actual school settings. The study sought to answer two research questions. What insights can be gained from the experience of teachers teaching invention education linked to regular subjects outside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what preparations are necessary for the broader application of invention education programs?
The results revealed that teachers faced several challenges before implementing invention education, including perceived difficulty, the misconception that it is suitable only for gifted students or specialized subjects, and a lack of teaching and learning know-how due to limited invention-related training. However, teachers who integrated intervention education into regular subjects consistently stated that it was less complicated than anticipated. Students came up with more novel and innovative ideas than expected and enthusiastically participated. These findings confirm that invention education can be effectively integrated not only with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but also across other regular subjects. However, for successful widespread implement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modifications to program the content, creating conducive conditions for program operation, and providing ad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re essential. Expanding opportunities for invention-related training is also important to empower teachers to adapt their classes effectively. Furthermore,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invention education into the regular curriculum relies on policy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reduce the burden on teachers and incentivize their engagement in inventio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지능 시대의 기술철학 담론 - 인문학적, 공학적, 통합적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7권 제3호 목차
- 2022개정 실과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성평등교육 수업 방안 탐색
- 고등학교 기술과 <로봇 하드웨어 개발> 수업 사례연구 - 서울시 S지역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 ChatGPT를 활용한 예비초등교사의 초등의생활 수업지도안 개발 연구
- 초등학교 실과와 학교 자율시간의 연계 방안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7권 제3호 판권
- 유럽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식생활 지침 개발 동향
-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 외 정규교과 연계 발명교육에서 교사의 지도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골프레이밍 이론을 통해 본 MZ세대의 농촌체험관광 프로그램 참여 동기 분석
- 구석기시대 섬유·직물에 관한 연구
-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에 기초한 2022 개정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가정생활 영역 분석
- 수시 개정 교육과정기 실과 검정 교과서 정보영역 단원의 체제 비교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 농업 영역의 내용 구성 방향
- 예비교사들의 전공별 원예교과통합적용 방식에 대한 연구
- H. Arendt의‘활동적 삶’관점에서 본 실과교육: 탐구대상으로서 인공세계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7권 제3호 논문 투고 규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