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녀 활동의 지적학적 함의 연구 - 국내 최고령 해녀 김화순을 중심으로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adastral Implications of Haenyeo's Activities : Focusing on Kim Hwa-soon, the oldest Haenyeo (Female Sea-diver)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이범관(Beom Gwa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제40권 제2호, 167~17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출향 해녀의 활동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녀 활동에 대한 지적학적 함의가 무엇인가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을 국내 최고령 해녀인 제주 출향 해녀 김화순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로서 시간적 범위는 김화순 해녀가 태어난 1921년부터 현재까지로 하고, 공간적 범위는 김화순 해녀가 활동한 제주도, 군산, 부산, 속초, 울릉도, 독도, 제천을 중심으로 하였다. 내용적으로는 김화순 해녀를 중심으로 해녀 활동에 대한 지적학적 함의가 무엇인가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으로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적 분석방법(記述的 分析方法)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해녀 활동은 초년기의 하군 활동, 성숙기의 상군 활동, 노년기의 하군 활동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해녀 활동은 해지를 먼바다, 앞바다로 구분하여 경계를 설정하고, 미역짬 등의 이름과 권리, 위치·크기·모양 등을 조사하여 관리하는 실체적 지적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ivities of a Jeju-born Haenyeo and to suggest cadastral implications of her activities. In order to efficiently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 subject is targeted at Kim Hwa-soon, the oldest Haenyeo from Jeju, Korea. The temporal scope of the study is from 1921, when Haenyeo Kim Hwa-soon was born, to the present, and the spatial scope is centered on Jeju Island, Gunsan, Busan, Sokcho, Ulleungdo, Dokdo, and Jecheon, where Haenyeo Kim Hwa-soon was active. The content is to present the cadastral implications of Haenyeo activities mainly with Kim Hwa-soon. As for the research methods, both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research methods were adopted, and the analysis method used descrip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conduct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Haenyeo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lower-level activities in the early years, upper-level activities in the mature years, and lower-level activities in the old age. These Haenyeo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the implication of the substantive cadastral activities by investigating and managing names and rights related to seaweed beds, along with their locations, sizes, and shapes, etc while setting the boundaries by dividing the sea area into far seas and near sea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제주 해녀의 활동 실태 분석
4. 해녀 활동의 평가와 지적학적 함의
5.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지경계 관리를 위한 메타버스의 구현 및 적용
- GIS를 이용한 농촌마을 기초생활서비스 진단 분석
- 부동산 플랫폼이 중개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개별불부합지 정리방안에 대한 절차별 타당성 검증 연구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지적 분야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지적 분야의 투명성 제고
- 토지행정과 디지털 전환: 주요 글로벌 의제 검토를 중심으로
- 고구려현(高句麗縣) 실체에 의한 동북공정의 허상(虛像) 규명 - 고구려 건국 연도 재정립과 한사군의 위치를 중심으로
- 지적직 공무원 임용시험 과목 개선 연구
- 전세계약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해녀 활동의 지적학적 함의 연구 - 국내 최고령 해녀 김화순을 중심으로
-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지목 변화 추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