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지행정과 디지털 전환: 주요 글로벌 의제 검토를 중심으로
이용수 54
- 영문명
- Land Administr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Focusing on the Major Global Agendas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이천재(Cheon Ja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제40권 제2호, 99~11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토지행정과 디지털 전환 간의 연계성을 검토하고, 주요 글로벌 의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토지행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전환에 따른 토지행정의 변화상을 논의하고, 이러한 변화를 촉진하는 사회·기술·정책적 동인을 탐색함과 동시에 관련 글로벌 의제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지털 전환은 공간정보의 생산·관리·융합·소비·유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토지 행정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AI, 블록체인, 고해상도 위성 영상과 같은 기술 활용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사이버 보안 위험, 기술 격차, 규제 개혁은 지속적으로 해결해야 할 주요 당면과제이다. 따라서 디지털 전환이라는 글로벌 메가트렌드에 부합하는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토지행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유연한 정책과 법률, 지속적인 혁신의 노력과 주도적인 국제 협력 활동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linkages between land administr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and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key global agendas to suggest directions for land administration in response to digital transformation. It discusses the changes in land administration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explores the socio-technical and policy drivers of these changes, and analyses the trends in relevant global agenda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Digital transformation improves the efficiency and transparency of land administration by enabling the production, management, fus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spatial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use of technologies such as AI, blockchain, and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However, cybersecurity risks, technological gaps, and regulatory reform continue to be major challenges. Therefore building a sustainable and inclusive land administration system that is in line with the global megatrend of digital transformation will require flexible policies and laws, continuous innovation efforts, and proactive international co-operation.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주요 의제 분석
4. 시사점 및 논의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지경계 관리를 위한 메타버스의 구현 및 적용
- GIS를 이용한 농촌마을 기초생활서비스 진단 분석
- 부동산 플랫폼이 중개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개별불부합지 정리방안에 대한 절차별 타당성 검증 연구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지적 분야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지적 분야의 투명성 제고
- 토지행정과 디지털 전환: 주요 글로벌 의제 검토를 중심으로
- 고구려현(高句麗縣) 실체에 의한 동북공정의 허상(虛像) 규명 - 고구려 건국 연도 재정립과 한사군의 위치를 중심으로
- 지적직 공무원 임용시험 과목 개선 연구
- 전세계약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해녀 활동의 지적학적 함의 연구 - 국내 최고령 해녀 김화순을 중심으로
-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지목 변화 추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