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구려현(高句麗縣) 실체에 의한 동북공정의 허상(虛像) 규명 - 고구려 건국 연도 재정립과 한사군의 위치를 중심으로
이용수 67
- 영문명
- Identification of the Illusion of the Northeast Project Based on the Reality of Goguryeo County - Focusing 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Founding Year of Goguryeo and the Location of Hansa-Gun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신용우(Yong Woo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제40권 제2호, 117~14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국이 동북공정에서 ‘고구려 역사가 중국 역사’라고 주장하는 이유는 ‘고구려는 한사군 중 하나인 현토군의 고구려현에서 시작되어 번창하였으나, 한 번도 한사군의 영역을 벗어난 적이 없으며, 역대 중국왕조와 신속 관계를 유지하다가 당나라에 의해서 통일되고, 그 유민 대다수가 한족으로 융입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후한서』, 『삼국지』, 『산해경』 등의 중국 사서들에 의하면 고구려는 현토군 설치 이전에 존재했으며, 고구려현을 품고 있는 현토군이 고구려의 침략으로 군을 고구려 서북쪽으로 옮기기도 하는 등 고구려와 고구려현은 별개라는 사실이 확연하다. 따라서 현토군 설치 이전부터 고구려가 존재했다는 것을 증명하고, 고구려 건국 연도가 재정립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여, 많은 사서와 자료들을 검토하여 고구려 건국 연도를 기원전 217년으로 재정립하였다. 그리고 한사군이 설치된 영역은 위만조선의 영역일 뿐이라는 기록과 현토군의 고구려현에서 요하가 발원한다는 기록, 『삼국사기』에 고구려 첫 도읍지가 흘승골성으로 북진의 의무려산이라고 명시된 것을 토대로, 한사군의 위치가 북진의 의무려산 서쪽에서 난하 유역에 걸쳐 설치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고구려현은 고구려와는 완전히 별개로 서진(西晉) 시대에도 존속하였고, 고구려는 한사군과 한나라를 적대시하여 한사군을 지속적으로 공격했다는 것도 밝혀냈으며, 중국이 고구려 역사를 중국 역사로 만들려는 커다란 목적 중 하나가 대진국 발해 역사를 중국 역사로 만들어야 고구려 멸망 후 유민들이 한족 중국으로 융입되었다는 동북공정에서의 주장을 합리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도 밝혔다. 결국 중국이 동북공정에서 ‘고구려 역사가 중국 역사’라는 근거로 제시한 ‘고구려현에서 고구려가 시작되어, 한사군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당나라에 의해서 통일된 후, 그 유민 대다수가 한족으로 융입되었다’라는 주장은 모두 허구이거나 허구임을 감추기 위한 수단이라는 것을 밝혀, 동북공정이 허상이라는 것을 규명한 것이다. 아울러 중국 역시 동북공정이 허상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고구려 역사를 한족 중국 역사로 만들기 위해서 억지를 부리는 이유는 모택동이 ‘공화국의 장자’라고 극찬한 만주의 영토권을 차지하기 위해서라는 것과 모택동이 만주를 극찬한 이유와 만주가 중국에 강점된 경위도 함께 기술함으로써, 만주의 영토권이 우리 한민족에게 귀속되어야 하는 이유도 밝혔다.
영문 초록
The reason why China claims that 'Goguryeo history is Chinese history' in the Northeast Project is that 'Goguryeo originated and prospered in Goguryeo County in Hyeonto-gun, one of the Hansa-gun, but has never left the territory of the Hansa-gun, and has maintained close relationships with successive Chinese dynasties. It was maintained until it was unified by the Tang Dynasty, and most of its refugees were integrated into the Han Chinese.' However, according to Chinese historical books such as book of later Han, the Three Kingdoms, and Shanhaekyeong, Goguryeo existe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Hyeonto-gun, and Hyeontugun, which embraces Goguryeo County, moved its military to the northwest of Goguryeo due to Goguryeo's invasion. It is clear that Goguryeo County is separate. Therefore, by proving that Goguryeo existe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Hyeonto-gun, it suggested the need to re-establish the founding year of Goguryeo, and by reviewing many historical records and materials, the founding year of Goguryeo was reestablished as 217 BC. And based on the record that the area where Hansa-gun was installed was only the territory of Wiman Joseon, the record that the Liao River originates from Goguryeo-hyeon in Hyeonto-gun, and the fact that Goguryeo's first capital site was Heulseunggolseong in the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that it was Mt. Yiwulu Mountain in the Northern Jin, the location of Hansa-gun was determined. It was revealed that it was installed from the west of Mt. Yiwulu Mountain in Northern Jin to the Nanhe River basin.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Goguryeo County existed until the Western Jin Dynasty, completely separate from Goguryeo, and that Goguryeo was hostile toward the Hansa-gun and the Han Dynasty and continuously attacked the Hansa-gun. One of China's major goals of making Goguryeo's history into Chinese history was It was also revealed that one of the reasons was to make the history of Balhae, the Great Jin Dynasty, into Chinese history in order to rationalize the claim in the Northeast Project that refugees were integrated into Han Chinese after the fall of Goguryeo. In the end, the argument that China presented in the Northeast Project as the basis that 'Goguryeo history is Chinese history' was that 'Goguryeo started in Goguryeo County, did not escape the scope of the Hansa-gun, and after being unified by the Tang Dynasty, the majority of its refugees were integrated into the Han people.' By revealing that the claims are all fiction or a means to hide the fact that they are fiction,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Northeast Project is an illusion. In addition, China also knows that the Northeast Project is an illusion, but the reason it is trying to make the history of Goguryeo into the history of Han Chinese is to take over the territorial rights of Manchuria, which Mao Zedong praised as the 'eldest son of the republic', and the reason why Mao Zedong praised Manchuria. It also describes how Manchuria was taken over by China.
목차
1. 서 론
2. 중국의 역사 인식과 고구려현에 대한 개념
3. 고구려현의 실체 규명을 위한 이론
4. 고구려현의 실체에 의한 동북공정의 허상 규명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지경계 관리를 위한 메타버스의 구현 및 적용
- GIS를 이용한 농촌마을 기초생활서비스 진단 분석
- 부동산 플랫폼이 중개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개별불부합지 정리방안에 대한 절차별 타당성 검증 연구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지적 분야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지적 분야의 투명성 제고
- 토지행정과 디지털 전환: 주요 글로벌 의제 검토를 중심으로
- 고구려현(高句麗縣) 실체에 의한 동북공정의 허상(虛像) 규명 - 고구려 건국 연도 재정립과 한사군의 위치를 중심으로
- 지적직 공무원 임용시험 과목 개선 연구
- 전세계약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해녀 활동의 지적학적 함의 연구 - 국내 최고령 해녀 김화순을 중심으로
-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지목 변화 추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