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IS를 이용한 농촌마을 기초생활서비스 진단 분석
이용수 32
- 영문명
- Diagnostic Anaysis of Basic Life Services in Rural Villages Using GIS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임승현(Seung Hyeon Lim) 이근상(Geun Sa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제40권 제2호, 13~2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농촌마을은 도심지에 비해 경제 및 문화수준을 비롯하여 주민들의 삶의 질도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농촌마을 기초생활서비스 수준을 정확히 분석하여 정책마련에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의 기초생활서비스 수준을 진단하기 위해 먼저 농촌마을로부터 기초생활서비스 진단지표 시설까지의 접근시간을 기초로 퍼지함수를 이용하여 진단지표별 접근성 표준화값을 계산하였다. 또한, AHP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진단지표별 가중치를 계산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거점서비스, 읍면생활권서비스, 응급안전서비스 지표군을 구성하고 있는 진단지표별 접근성을 GIS를 통해 분석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초생활서비스 진단지표별 표준화값과 가중치값을 활용하여 종합지수를 계산하였다. 마을수를 기준으로 한 서비스 수준은 1등급 및 2등급 이상의 마을수 비율이 각각 42.1%와 89.5%로 나타났으며, 마을인구를 기준으로 한 기초생활비스 수준은 각각 60.4%와 93.4%로서 전라북도 농촌마을의 기초생활서비스 수준은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료를 기초로 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농촌마을별로 기초생활서비스 수준을 진단하여 맞춤형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Compared to urban areas, rural villages have relatively low economic and cultural levels, as well as residents'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analyze the level of basic living services in rural villages and use them in policy development. In this study, in order to diagnose the level of basic living services in rural villages, we first calculated standardized accessibility values for each diagnostic indicator using a fuzzy function based on the access time from the rural village to the basic living service diagnostic indicator facility. In addition, the weights of each diagnostic indicator were calculated through a survey of AHP experts, an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accessibility of each diagnostic index that comprises the indicators of regional base services, municipal livelihood services, and emergency safety services through GIS. And a comprehensive index was calculated using the standardized and weighted values for each basic life service diagnostic index. As for the service level based on the number of villages, the ratio of the number of villages grade 1 and 2 or higher was 42.1% and 89.5%, respectively, and the level of basic living services based on the village population was 60.4% and 93.4%, respectively, which is 60.4% and 93.4%, respectively, in rural areas of Jeollabuk-do.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basic living services in the village was good. Based on this study data, it is judged important to diagnose the level of basic living services in each rural village in future research and use it to establish customized policies.
목차
1. 서 론
2. 기초생활서비스 진단지표별 접근성 표준화 분석
3. 기초생활서비스 수준 분석
4. 결과 정리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지경계 관리를 위한 메타버스의 구현 및 적용
- GIS를 이용한 농촌마을 기초생활서비스 진단 분석
- 부동산 플랫폼이 중개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개별불부합지 정리방안에 대한 절차별 타당성 검증 연구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지적 분야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지적 분야의 투명성 제고
- 토지행정과 디지털 전환: 주요 글로벌 의제 검토를 중심으로
- 고구려현(高句麗縣) 실체에 의한 동북공정의 허상(虛像) 규명 - 고구려 건국 연도 재정립과 한사군의 위치를 중심으로
- 지적직 공무원 임용시험 과목 개선 연구
- 전세계약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해녀 활동의 지적학적 함의 연구 - 국내 최고령 해녀 김화순을 중심으로
-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지목 변화 추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