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동산 플랫폼이 중개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48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Real Estate Platform on Brokerage Servic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우수환(Su Hwan Woo) 이성화(Seong Hwa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제40권 제2호, 25~3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동산 플랫폼이 그 자체로가 아닌 중개계약, 중개대상물, 부동산 거래계약, 중개보수 등 중개 서비스 과정이 중개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으며, 공인중개사와 중개의뢰인에게 있어 서로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공인중개사의 경우 부동산 거래계약이 중개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는 부동산 플랫폼이 조절변인으로서 영향을 미칠 뿐 중개계약 등의 경우에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며, 중개의뢰인의 경우에는 중개보수가 중개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부동산 플랫폼이 조절변인으로서 영향을 미칠 뿐 중개계약 등에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조절변인으로서 부동산 플랫폼의 영향이 공인중개사와 중개의뢰인에게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다양한 부동산 플랫폼이 등장하고, 각각의 플랫폼마다 차별화된 서비스가 제공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앞으로 부동산 플랫폼이 보다 세분화, 차별화되고 전문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부동산 중개시장에서 부동산 플랫폼의 영향은 더욱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brokerage service process, such as brokerage contract, brokerage object, real estate transaction contract, and brokerage fee, rather than the real estate platform itself, has a moderating effect in influencing brokerage service satisfaction, and the real estate platform itself Different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case of licensed real estate agents, the real estate platform was studied as a moderating variable when it comes to real estate transaction contract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brokerage services, bu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in the case of brokerage contracts.
In the case of brokerage clients, the real estate platform was studi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influencing brokerage fees on satisfaction with brokerage services, but brokerage contracts, etc., had no moderating effect.
In conclusion, the reason why the impact of the real estate platform as a moderating variable appears differently on real estate agents and brokerage clients is because various real estate platforms have emerged and differentiated services are provided for each platform. This shows that real estate platforms are expected to become more segmented,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in the future, so the impact of real estate platforms on the real estate brokerage market will be more diverse.
목차
1. 서 론
2.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
3. 연구설계 및 가설검정
4. 실증분석 및 가설검정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지경계 관리를 위한 메타버스의 구현 및 적용
- GIS를 이용한 농촌마을 기초생활서비스 진단 분석
- 부동산 플랫폼이 중개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개별불부합지 정리방안에 대한 절차별 타당성 검증 연구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지적 분야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지적 분야의 투명성 제고
- 토지행정과 디지털 전환: 주요 글로벌 의제 검토를 중심으로
- 고구려현(高句麗縣) 실체에 의한 동북공정의 허상(虛像) 규명 - 고구려 건국 연도 재정립과 한사군의 위치를 중심으로
- 지적직 공무원 임용시험 과목 개선 연구
- 전세계약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해녀 활동의 지적학적 함의 연구 - 국내 최고령 해녀 김화순을 중심으로
-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지목 변화 추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