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ensparency Improvement for Social Value Realizationin in Cadastral Area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김영학(Young Ha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제40권 제2호, 83~9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적 가치는 사회, 경제, 환경,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를 의미하며, 이러한 가치 실현을 위한 지적 분야의 역할은 무엇이며, 역할 과정의 투명성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도출 및 모색하여 지적 분야의 사회적 가치를 달성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 된다. 이를 위한 연구 범위는 지적 분야 투명성으로 한정하고, 그 대상은 공공부문 근무자의 업무에 한정하고자 한다. 조사 방법은 문헌조사 및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1차 및 2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체제론적 접근방법을 병용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관점 및 견지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지적 분야 사회적 가치와 접근 틀은 사회적 가치, 투명성, 선행연구, 접근 틀 차원에서 검토하게 된다. 둘째, 지적 분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투명성 실태는 접근의 틀에서 언급한 요소를 토대로 기술 및 서술하게 된다. 셋째, 지적 분야 사회적 가치 실현 등의 바람직한 방향은 예방적이고 처방적인 대응과 제도적이고 체계적인 대응 전략 차원에서 검토하게 된다.
영문 초록
The social value refers to the value that can contribute to the public interest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in all areas such as society, economy, environment, and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achieving social value in the cadastral sector by examining the role of the cadastral sector in realizing such the social values, reviewing the transparency of the process in fulfilling this role, and exploring desirable directions.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ransparency in the cadastral sector, focusing on the work in the public sector. In terms of research method, the primary and secondary data a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research. Both a descriptive and systematic approach a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derived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 and viewpoints. First, the social value in the cadastral sector and the framework are reviewed in terms of social value, transparency, literature review, and framework. Second, the transparency for realizing the social value in the cadastral sector is described based on the elements mentioned in the framework. Third,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realizing the social value in the cadastral sector a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s of preventive and prescriptive responses, as well as institutional and systematic response strategies.
목차
1. 서 론
2. 사회적 가치와 접근틀(Framework)
3. 사회적 가치의 실제
4. 사회적 가치의 실제의 한계 및 향후 투명성 방향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구려현(高句麗縣) 실체에 의한 동북공정의 허상(虛像) 규명 - 고구려 건국 연도 재정립과 한사군의 위치를 중심으로
- 해녀 활동의 지적학적 함의 연구 - 국내 최고령 해녀 김화순을 중심으로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지적 분야의 투명성 제고
- 전세계약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지목 변화 추정 분석
- GIS를 이용한 농촌마을 기초생활서비스 진단 분석
- 토지행정과 디지털 전환: 주요 글로벌 의제 검토를 중심으로
- 부동산 플랫폼이 중개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지적직 공무원 임용시험 과목 개선 연구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지적 분야 연구 동향 분석
- 개별불부합지 정리방안에 대한 절차별 타당성 검증 연구
- 토지경계 관리를 위한 메타버스의 구현 및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부동산산업연구 제8권 제2호 목차
- 신도시개발 과정에서의 보상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아파트 가격 결정 요인과 브랜드 가치 비교 연구 - 울산시 북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