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Apartment Price Determinants and Brand Value : Focused on Buk-gu, Ulsan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산업학회
- 저자명
- 윤영길(Younggil Yoon) 서정렬(Jeongyeal Suh)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산업연구』제8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하위시장의 동일 자치구 내 아파트 가격 상위지역과 하위지역 간의 아파트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파악하고, 브랜드 간의 격차가 있다면 가치 비중이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 북구 아파트 가격 상위지역인 화봉동과 하위지역인 천곡동에서 최근 5년 간 거래된 아파트 거래 건수 전수를 대상으로 아파트 3.3㎡당 실거래가를 종속변수로 하고 아파트 구조, 단지, 입지 및 브랜드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는 횡단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5년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 중 방수는 가격 상승기와 하락기 구별없이 가격 상위지역인 화봉동은 부(-)의 방향으로 소형 평형 일수록, 하위지역인 천곡동은 정(+)의 방향으로 대형 평형 일수록,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격 하위지역에서의, 브랜드 가치 비중은 아파트 가격 상승기보다 하락기에 브랜드 가치 비중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현상은 부동산 시장 특성에 맞춰 평형대와 브랜드 또는 비브랜드 아파트를 믹스(Mix) 하는 등의 마케팅 소구점으로 활용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apartment price determination between upper and lower price areas in the same autonomous district of the regional submarket in a situation where regional polarization is deepening, and to identify how the value weight differs if there is a gap between brands. To this end, a cross-section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number of apartment transactions in the past five years in Hwabong-dong, the upper price area of Buk-gu, Ulsan Metropolitan City, and Cheongok-dong, the lower price area, with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per 3.3㎡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apartment structure, complex, location, and brand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mong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five years, the price of apartments increased in the negative (-) direction in Hwabong-dong, the upper price area, regardless of the price increase and decrease period, and in the positive (+) direction in Cheongok-dong, the lower price area, the price of apartments increased in the positive (+) direction. Second, in the lower price area, the brand value weight was confirmed to be greater in the decrease period than in the increase period. This phenomenon suggests that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mixing and matching branded or non-branded apartments with balanced units should be utiliz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 estate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이론
Ⅲ. 연구의 분석 방법 및 자료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부동산산업연구 제8권 제2호 목차
- 신도시개발 과정에서의 보상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아파트 가격 결정 요인과 브랜드 가치 비교 연구 - 울산시 북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