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의 몸에 대한 여성주의적 이해와 그 교육적 의미
이용수 137
- 영문명
- A Feminist Understanding of the Female Body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최훈(Hoon Choi)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4호, 247~26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몸에 대한 철학적이고 여성주의적인 논의에 기초하여 여성의 몸이 극복 또는 부정의 대상이 아니라 사회변화의 건설적인 동인임을 규명하고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여성 주체성 형성의 교육이론적 근거로 제시하는 데에 있다. 제시된 연구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서 개념 분석과 논증의 방법이 철학적이고 여성주의적인 논의에 체계적으로 적용된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2절에서는 메를로퐁티의 지각 이론에 기초하여 지각 체험의 의미 부여적 기능과 몸의 매체적 기능이 검토된다. 자아와 대상의 의미를 개별적으로 드러내는 지각 체험은 몸과 정신의 단일성 및 주체와 객체의 통합의 근거로 제시된다. 3절에서는 사회구성주의의 관점에서 여성성이 여성의 몸에 선천적으로 귀속된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는 것임이 논의된다. 여성의 몸이 제공하는 경험과 지각의 독특한 방식은 개인적 정체성과 주체성 형성의 출발점으로 제시된다. 4절에서는 여성의 몸에 대한 철학적이고 여성주의적인 논의에 기초하여 여성 억압의 현대적 형식에 대한 교육적 비판이 시도된다. 자기 형성(도야)의 관점에서 몸에 기반한 표현 및 감성과 정서의 계발은 여성 주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적 방안으로 제시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female body is not an object to be overcome or negated but a constructive agent of social change based on philosophical and feminist discussions about the female body and to present the results of this discussion as an educational-theoretical basis for the formation of female subjectivity. To this end, this study systematically applied the methods of conceptual analysis and argument to philosophical and feminist discussions.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2 reviews the meaning-giving function of experience of perception and the medial function of the body based on Merleau-Ponty’s theory of perception. Experience of perception, which individually reveals the meaning of self and object, is presented as the authority for the unity of mind and body and the integration of subject and object. Section 3 discuss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structionism that femininity is not innately attributed to the female body but is constructed socioculturally. The distinctive way of experience and perception provided by the female body is presented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formation of individual identity and subjectivity. Section 4 attempts an educational criticism of the modern form of the oppression of women based on philosophical and feminist discussions about the female body. Expression based on the body and development of sensibility and sentiment are presented as educational measures to form female subjec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self-formation (Bildung).
목차
Ⅰ. 서 론
Ⅱ. 몸에 대한 철학적 논의: 정신중심주의의 극복
Ⅲ. 여성의 몸에 대한 여성주의적 논의: 여성 정체성과 주체성의 논리적 기초
Ⅳ. 여성의 몸에 대한 교육적 논의: 여성 주체성의 교육적 형성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래교육 실천을 위한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청년 취업자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이 지니는 매개효과
- 온라인 학습에서 사후 인출연습과 피드백 유형이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4호 목차
- 학생 주도성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 중등학교에서의 학생자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음운인식과 인지기능 요인 간의 관계 분석
- 학급풍토가 중학생의 사회쟁점에 대한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 Rasch 모형을 활용한 청소년기 정서 문제 관련 문항의 타당도 검증
- 마음챙김 기반 교원 웰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IB DP(Diploma Programme) 점수 체계와 외국 대학에서의 IB 점수 활용에 대한 이해
- 교수설계자를 위한 ChatGPT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 태도가 자살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폐교대학 구성원 보호를 위한 정부 지원방안 고찰
-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
- 여성의 몸에 대한 여성주의적 이해와 그 교육적 의미
- 고등학교 교과 간 통합수업의 설계와 실행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