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래교육 실천을 위한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165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eaching Competency Diagnostic Scale for Future Education Practice: Focused on “D”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강주리(Juree Kang) 김보성(Boseong Kim) 전미진(Mijin Jeon) 정주영(Juyoung Jung)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4호, 173~19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미래교육의 가치를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교수역량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관한 잠정적 모델을 도출하고,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거쳐 역량군, 역량, 하위요소에 관한 내용적 타당성을 확인했다. 또한, 전문가 패널의 검토를 거쳐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D 대학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거쳐 336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토대로 문항 양호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역량군과 7개의 역량에 대한 53문항의 도구가 개발되었다. 기본 역량군(S)에는 교육철학 및 대학이해 역량(5문항)과 혁신적 태도 역량(1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업 역량군(U)에는 수업전략 역량(5문항), 수업운영 역량(14문항), 수업개선 역량(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공유 역량군(N)에는 교수학습 상호협력 역량(4문항)과 지식공유실천 역량(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교수자의 교수역량을 미래교육 관점에서 진단하고, 개선 영역을 도출하여 교수자의 성찰을 지원함으로써 전반적으로 교수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본 도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that could diagnose the appropriate level of teaching competency, taking into account the value of future education due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o do this, a provisional model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faculty was derived, and two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content validity of the competency groups, competencies, and sub-elements. In addition,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the review of an expert panel,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D University faculty, and a question goodness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336 people. As a result, a scale with 53 questions for three competency groups and seven competencies was developed. The basic competency group (S) consisted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university understanding competency (5 questions) and innovative attitude competency (12 questions), the instructional competency group (U) consisted of teaching strategy competency (5 questions), class management competency (14 questions), and class improvement competency (9 questions). The shared competency group (N) consisted of teaching learning mutual cooperation competency (4 questions) and knowledge sharing practice competency (4 questions). This allows the scale to be used to diagnose instructors' teaching competencies from the perspective of future teaching,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and support instructors' insights to improve their overall teaching competenc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주리(Juree Kang),김보성(Boseong Kim),전미진(Mijin Jeon),정주영(Juyoung Jung). (2024).미래교육 실천을 위한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열린교육연구, 32 (4), 173-198

MLA

강주리(Juree Kang),김보성(Boseong Kim),전미진(Mijin Jeon),정주영(Juyoung Jung). "미래교육 실천을 위한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열린교육연구, 32.4(2024): 173-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