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음운인식과 인지기능 요인 간의 관계 분석
이용수 120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Cognitive Function Factors of Children with Poor Elementary Level Reading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호(Kyungho L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4호, 65~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음운인식과 인지기능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읽기부진 아동의 음운인식 습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소재 4개의 지역교육지원청에서 읽기부진으로 의뢰한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에 재학 중인 9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학년 구간에 따른(저학년, 고학년) 지능검사, 주의력검사, 음운인식검사를 통한 측정 요인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주의력과 음운인식은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음운인식과 측정 요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주의력과 언어이해, 작업기억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 읽기부진 아동 음운인식에 인지기능 측정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선택적주의력과 작업기억 능력이 음운인식에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acquiring phonological awareness of children with poor reading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perception and cognitive function factors of children with poor reading skill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with 95 students enrolled in the 1st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ommissioned by four regional education support offices in Jeollanam-do for poor reading.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 through intelligence tests, attention tests, and phonological awareness tests of children with poor reading in elementary schoo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low grades, upper grades) in attent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measurement factors of children with poor reading in elementary school, attention, language understanding, and working memor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on the phonological awareness of children with poor reading in elementary school, it was found that selective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abilitie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honological awaren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래교육 실천을 위한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청년 취업자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이 지니는 매개효과
- 온라인 학습에서 사후 인출연습과 피드백 유형이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4호 목차
- 학생 주도성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 중등학교에서의 학생자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음운인식과 인지기능 요인 간의 관계 분석
- 학급풍토가 중학생의 사회쟁점에 대한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 Rasch 모형을 활용한 청소년기 정서 문제 관련 문항의 타당도 검증
- 마음챙김 기반 교원 웰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IB DP(Diploma Programme) 점수 체계와 외국 대학에서의 IB 점수 활용에 대한 이해
- 교수설계자를 위한 ChatGPT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 태도가 자살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폐교대학 구성원 보호를 위한 정부 지원방안 고찰
-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
- 여성의 몸에 대한 여성주의적 이해와 그 교육적 의미
- 고등학교 교과 간 통합수업의 설계와 실행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