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수설계자를 위한 ChatGPT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용수 235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Program Using ChatGPT for Instructional Designers: Focusing on Middle-aged and Older Instructional Designer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선우(Sunwoo Lee) 송진주(Jinju Song) 홍수민(Sumin Ho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4호, 85~11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ADDIE 모형을 토대로 교수설계자 대상 ChatGPT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교수설계자를 위한 ADDIE 모형에 따른 ChatGPT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중·장년 교수설계자 36명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교육 전·후에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고, 총 16명의 교수설계자가 참여하였다. 분석방법은 대응표본 t-검정과 비모수 검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s signed ranks test)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연령층을 고려하여 ADDIE 모형 기반 ChatGPT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동기 부여, 학습자와 관련성이 높은 사례 제시 등을 수행하였다. 둘째, 중·장년 교수설계자 대상 ChatGPT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성 측정 결과, 효능감 및 학습지속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최근 중·장년 교수설계자에게 테크놀로지 이해 및 활용 역량이 요구되고 있고, ChatGPT 활용이 교수설계의 기제로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역량 함양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이는 앞으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지원뿐만 아니라 교수체제개발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에 대한 탐색적 시도가 기술, 대상에 따라 더욱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hatGPT-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instructional designers using the ADDIE model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n educational program for instructional designers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case analyses following the ADDIE model. The program involved 36 middle-aged and older instructional designers. To assess the program’s effectiveness, teste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th participation of 16 instructional designers. The analysis methods included the paired sample t-test and the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study’s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program wa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This study presented examples of how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using ChatGPT based on the ADDIE model, such as the age group of learners, their motivation, and their relevance to learners. Secon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program using ChatGPT for middle-aged and elderly instructional designers,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efficacy,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n conclusion, middle-aged and older instructional designers are need to posses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technology in instructional desig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 및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래교육 실천을 위한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청년 취업자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이 지니는 매개효과
- 온라인 학습에서 사후 인출연습과 피드백 유형이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4호 목차
- 학생 주도성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 중등학교에서의 학생자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음운인식과 인지기능 요인 간의 관계 분석
- 학급풍토가 중학생의 사회쟁점에 대한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 Rasch 모형을 활용한 청소년기 정서 문제 관련 문항의 타당도 검증
- 마음챙김 기반 교원 웰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IB DP(Diploma Programme) 점수 체계와 외국 대학에서의 IB 점수 활용에 대한 이해
- 교수설계자를 위한 ChatGPT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 태도가 자살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폐교대학 구성원 보호를 위한 정부 지원방안 고찰
-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
- 여성의 몸에 대한 여성주의적 이해와 그 교육적 의미
- 고등학교 교과 간 통합수업의 설계와 실행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