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 학습에서 사후 인출연습과 피드백 유형이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4
- 영문명
- The Impact of Post-Retrieval Practice and Feedback Types on the Accuracy of Metacognitive Judgm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서일보(Ilbo Seo) 홍주영(Juyoung Ho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4호, 23~4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인출연습과 피드백 유형이 학업 성취도와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실험 참가자는 인출연습 여부에 따라 재학습을 하는 통제집단과 인출연습을 하는 실험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은 인출연습에 제공되는 피드백 정보의 양(실험집단 1: 정오 제공형 피드백, 실험집단 2: 정답 제공형 피드백, 실험집단 3: 정교화 피드백)에 따라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4개 분절로 이루어진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주어진 학습 조건에 따라 학습했다. 메타인지적 판단은 분절된 4번째 학습이 완료된 후 설문조사를 통해 판단하게 하였으며, 학업 성취도는 학습 종료 후 1주일이 지난 시점에서 20개 문항(기제출 문항 9개 문항, 전이 문항 11개 문항)을 포함하는 최종시험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시험에서 학업성취를 분석한 결과, 기제출 문항, 총 문항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기제출 문항과 총 문항에서 실험집단의 학업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는 기제출 문항과 총 문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았으며, 피드백 유형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trieval practice and various types of feedback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ccuracy of metacognitive judgments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which engaged in standard relearning,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that participated in retrieval practice. These groups wer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type and amount of feedback provided: Group 1 received knowledge of results feedback, Group 2 received knowledge of correct response feedback, and Group 3 received elaborate feedback, each designed to test different aspects of learning reinforcement. Participants studied online learning content divided into four segments under these conditions. Metacognitive judgments were assessed through a survey after completing the fourth seg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measured by a final test consisting of 20 items (9 previously studied items and 11 transfer items), administered one week after the end of the learning period.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r both the previously studied and total items.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nd more accurate metacognitive judgments in both item categor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feedback typ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래교육 실천을 위한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청년 취업자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이 지니는 매개효과
- 온라인 학습에서 사후 인출연습과 피드백 유형이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4호 목차
- 학생 주도성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 중등학교에서의 학생자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음운인식과 인지기능 요인 간의 관계 분석
- 학급풍토가 중학생의 사회쟁점에 대한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 Rasch 모형을 활용한 청소년기 정서 문제 관련 문항의 타당도 검증
- 마음챙김 기반 교원 웰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IB DP(Diploma Programme) 점수 체계와 외국 대학에서의 IB 점수 활용에 대한 이해
- 교수설계자를 위한 ChatGPT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 태도가 자살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폐교대학 구성원 보호를 위한 정부 지원방안 고찰
-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
- 여성의 몸에 대한 여성주의적 이해와 그 교육적 의미
- 고등학교 교과 간 통합수업의 설계와 실행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