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

이용수  91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s of Class Members’ and Learning Persistence in A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s: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Negative Emotion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소숙(Suk So) 김보경(Bokyeong Kim)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4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에서 온라인 자기조절학습과 부정정서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44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에서 온라인 자기조절학습과 부정정서의 순차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에서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은 정적으로, 부정정서와는 부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둘째,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에서 온라인 자기조절학습과 부정정서의 순차 매개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상호작용이 더 활발하다고 인식할수록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이 촉진되며 이는 부정정서를 감소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학습지속의향이 높아지도록 만들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구성원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촉진을 통하여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역량을 증진하게 하고, 독립적인 온라인 학습 공간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독려하여 부정정서를 상쇄함으로써 긍정적인 학습지속의향을 제고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 환경 조성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o confirm the influence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negative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members’ interactions and learning persistence in a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447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s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nd negative emotions were negative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members’ inter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Seco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negative emotions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That means as more active class members’ interactions were perceived in a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the more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is promoted, which can result in a higher learning persistence by reducing negative emotions.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o promote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ies by promoting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class members’ in a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and to create an online classroom environment that can offset negative emotions and enhance positive learning persistence by encouraging learners to participate in independent online learning spa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소숙(Suk So),김보경(Bokyeong Kim). (2024).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32 (4), 1-21

MLA

소숙(Suk So),김보경(Bokyeong Kim).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32.4(2024):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