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음챙김 기반 교원 웰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이용수  121

영문명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Well-being Program for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한미영(Miyoung Han)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4호, 199~22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원 대상의 마음챙김 기반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교원의 스트레스 및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에 대한 최신 뇌과학과 긍정심리학 연구를 토대로, 마음챙김 명상과 연민, 자애, 감사 등과 같은 긍정심리적 요소를 통합한 마음챙김 기반 교원 웰빙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실험집단의 교원들을 대상으로 8주 동안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분석은 먼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처치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집단 간 비교를 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집단 내 처치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전-추후 시기의 변화를 중심으로 처치효과의 지속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 기반 교원 웰빙 증진 프로그램은 마음챙김과 연민의 하위요인인 자기친절은 증가시키고, 분노, 신체적 반응과 같은 스트레스는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음챙김, 자기친절뿐만 아니라 이러한 변인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우울, 분노, 신체적 반응을 포함하는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가 프로그램 종료 후 4주 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기비판, 삶의 만족도, 부정정서의 경우에는 사전-사후 시기에는 유의한 처치효과를 나타냈지만,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는 그 효과가 지속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원의 정신건강 및 주관적 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program for teachers and empirically validated the effects on teachers’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developed.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latest neuroscience and positive psychology research on mindfulness, we developed a mindfulness-based well-being program for teachers that incorporated mindfulness medit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compassion, loving-kindness, and gratitude. We implemented the program for eight weeks with th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program effectiveness analysis, first, we compared between groups using Repeated Measure ANOVA to determine the treatment effec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econd, Repeated Measure ANOVA and paired sample t-tests to examine the treatment effect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ompared. In particular, we examined the persistence of the treatment effect, focusing on changes from pre- to 4-week follow up 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indfulness-based teacher well-be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mindfulness and self-kindness, one of the components of compassion, and decreasing stress, such as anger and physical reactions. Furthermore, the effects on stress, which includes not only mindfulness and self-kindness but also depression, anger, and physical reactions as a result of these variables, were sustained up to four weeks after the program ended. On the other hand, self-criticism,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 affect showed significant treatment effects in the pre- and post-treatment periods, but the effects did not persist four weeks after the program en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ways to improve teachers'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미영(Miyoung Han). (2024).마음챙김 기반 교원 웰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열린교육연구, 32 (4), 199-221

MLA

한미영(Miyoung Han). "마음챙김 기반 교원 웰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열린교육연구, 32.4(2024): 199-2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