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급풍토가 중학생의 사회쟁점에 대한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6
- 영문명
- The Effects of Classroom Climate on Middle School Students’ Expression of Opinion on Social Issue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정(MinJeong Kim)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4호, 111~13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급풍토가 중학생의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쟁점 활용 토론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토대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풍토의 하위요인 중 갈등도와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업성취도와 쟁점에 대한 지식수준이라는 개인적 요인은 선행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학습자의 의견표명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민주주의의 발전과 정치참여 활성화를 위해 토론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의견표명은 독려되어야 하며 연구 결과는 쟁점 활용 토론수업이 원활하게 운영되기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effective classroom discussions using issues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effect of class climate on middle school students’ expression of opinion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37 students enrolled in middle schools in Seou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research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among the sub-factors of class climate, friction and satisfaction emerg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Secondly, personal factor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and knowledge level about issues exhibi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ers’ expression of opinion,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Encouraging learners’ expression of opinions in classroom discussions is crucial for fostering democracy and revitalizing political participa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serve as a guide for the smooth operation of discussion classes utilizing issu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래교육 실천을 위한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청년 취업자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이 지니는 매개효과
- 온라인 학습에서 사후 인출연습과 피드백 유형이 메타인지적 판단의 정확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4호 목차
- 학생 주도성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 중등학교에서의 학생자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음운인식과 인지기능 요인 간의 관계 분석
- 학급풍토가 중학생의 사회쟁점에 대한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 Rasch 모형을 활용한 청소년기 정서 문제 관련 문항의 타당도 검증
- 마음챙김 기반 교원 웰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IB DP(Diploma Programme) 점수 체계와 외국 대학에서의 IB 점수 활용에 대한 이해
- 교수설계자를 위한 ChatGPT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 태도가 자살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폐교대학 구성원 보호를 위한 정부 지원방안 고찰
-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
- 여성의 몸에 대한 여성주의적 이해와 그 교육적 의미
- 고등학교 교과 간 통합수업의 설계와 실행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