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arious visual experiments and Aesthetics based on Interactive Algorithm: Focusing on Database Narrative and Lifelog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서대정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0호, 337~36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bout various visual experiments through new device, emerging in 21th century. Film dominated visual analog media in 20th century but we have got into digital era which could infinite copy and transform. However we have concentrated how could use digital media rather than its aesthetics itself. Therefore, against this tendency, I hope to introduce new style narrative and visual experiments through this article. I will seek to environmental changes of new media and predict how classical narrative style can change in 21th century. Lifelog, Mentioned in later part, will be interpreted by dramatic change due to digital media. We can predict that lifelog will take center stage as new style narrative and it will have a ripple effect on the industry. Maybe, holodeck, it will occupy the summit of digital environments. Also I convince that interactive digital narrative processing and various technologies for visual effects will be included in holodeck system in the future. I would like to show sketchy knowledge and scenery beyond ordinary filmic aesthetics in this article. The ultimate aim of this study is seek to aesthetic effect of new style narrative and experiments, further more is strengthen the basis of alternative digital aesthetics.
목차
1. 서론
2. 인터랙티브와 서사
3. 라이프로그(lifelog) 혁명
4.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미학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 강점 말기와 유신 정권 시기의 국책선전영화 비교 연구
- 유신체제기 한국영화 <증언>(1974)의 영화적 특징과 시대적 특수성
- 조선영화 태동기의 일꾼 이구영의 영화인생론
- 쇼트/역쇼트에 대한 지각심리학적 접근
- 영화제작에 사용되는 모션과 페이셜 캡쳐 연구
- 열린 아시아, 닫힌 민족주의
- 리아 타지리의 영화 <역사와 기억>에 대한 연구
- 일상적 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창작수법의 혁신, 체코슬로바키아 영화(1963-1968)
- 인터랙티브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다양한 영상 실험과 미학
- 부산영상산업 발전방향 타당성 연구
- ‘한국영화 르네상스’(1997~2006)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 다큐멘터리영화의 관객소통 방식 연구
- 경북 영화산업 활성화 방안
- <잔 다르크의 열정>의 표현주의적 성격에 대하여
- 남자, 몸, 폭력 그리고 이산(離散)정체성의 정치학
- 대안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 장르 컨벤션의 활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영화의 대중성 연구
- 관계론적 입장에서 바라본 탈 중심 공간의 시각이미지 표현 방법 연구
- <써니>를 통해 본 복고 이미지와 환각적 기호로서의 향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RANSNATIONAL TROPES OF THE COMBAT FILM GEN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WAR "DIVISION FILM": BATTLE OF INCHEON: OPERATION CHROMITE (2016) and WOLMI ISLAND (1982)
- LED 월을 활용한 수중촬영 스튜디오―실시간 시각화를 위한 수중촬영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 관람자 시점 이동성에 따른 VR 공포영화의 실재감 연구: 2D영화 <곡성>과 VR영화 <부고>의 스타일 분석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