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Rea Tajiri's work, 'History and Memor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장민용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0호, 445~4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Japanese-American independent filmmaker, Rea Tajiri' addresses the inheritance of imprecise and elliptical familial memories of a traumatic event in history that involved their relocation to the Japanese-American internment camps in the United States following the Japanese attack on Pearl Harbor during the Second World War in (1991). Tajiri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her mother's memory of the event - which is so incomplete it approaches the condition of amnesia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way generational silences and fissured memories of the past have affected her own sense of identity and memory. Her mother's silence is accompanied by a further absense of images : photographs of the internment were illegal and thus her family has none in their possession. In order to reconstruct these silences, gaps and holes back into forms of personal memory and history, Tajiri must access the past through public archives, records, documents, popular culture and finally through the remains of the camps themselves. By investigating the process by which some images are made to construct official history, while others simply disappear, Tagiri's work itself, becomes a new working historical document. Moreover, the missing images of her inherited past inaugurate a physical return to the site of her mother's internment. Tagiri tries to render the invisible visible again through representation. Tagiri's journey back is made in order to construct new, alternative images for an event that has no such image yet. She attempts to render a presence out of absence. Her video is thus constructed out of, she says on the soundtrack, “the search for an ever absent image and the desire to create an image where there is none.” Through this precess of returning to the past makes new images of an invisible, forgotten and buried past, creating a mnemonic text in the process. Tagiri's 'History and Memory' is a project of making what was invisible in history and in memory, visible again, “I can forgive my mother her loss of memory”, she says on the sound track, “and make this image for her.”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집단 기억, 침묵, 망각
3. <역사와 기억>
4.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 강점 말기와 유신 정권 시기의 국책선전영화 비교 연구
- 유신체제기 한국영화 <증언>(1974)의 영화적 특징과 시대적 특수성
- 조선영화 태동기의 일꾼 이구영의 영화인생론
- 쇼트/역쇼트에 대한 지각심리학적 접근
- 영화제작에 사용되는 모션과 페이셜 캡쳐 연구
- 열린 아시아, 닫힌 민족주의
- 리아 타지리의 영화 <역사와 기억>에 대한 연구
- 일상적 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창작수법의 혁신, 체코슬로바키아 영화(1963-1968)
- 인터랙티브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다양한 영상 실험과 미학
- 부산영상산업 발전방향 타당성 연구
- ‘한국영화 르네상스’(1997~2006)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 다큐멘터리영화의 관객소통 방식 연구
- 경북 영화산업 활성화 방안
- <잔 다르크의 열정>의 표현주의적 성격에 대하여
- 남자, 몸, 폭력 그리고 이산(離散)정체성의 정치학
- 대안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 장르 컨벤션의 활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영화의 대중성 연구
- 관계론적 입장에서 바라본 탈 중심 공간의 시각이미지 표현 방법 연구
- <써니>를 통해 본 복고 이미지와 환각적 기호로서의 향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