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lternative style of documentary: the application of Genre Convention: Film Noir style employed in The Thin Blue Lin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남승석 조혜랑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0호, 235~277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studies the pervasive shift in the comprehension of the word documentary, which explores the blurring lines of reality, between fact and fiction, documentary and feature. The work of Errol Morris, an American documentary director, could be located within the new-style of poetic documentary that permits organizing its material to produce emotional affect and even a dialogue with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Morris draws on popular disclosure of trauma and weaves it into documentaries that are also intrinsically about breaking down institutional resistance to aesthetic innovation. The Thin Blue Line (1988) is the fascinating, controversial true story of the arrest and conviction of the wrong man, Randall Dale Adams, for the murder of a Dallas policeman in 1976. The film handles the problem of figuring traumatic historical truths inaccessible to representation by any simple or single reenactment of a memory, and the reenactment nevertheless operates in complicated and indirect refractions of reality. The film uses reenactments less to authenticate the past than to stress the variability of its interpretation. It is this paradox of the intrusive manipulation of documentary truth, combined with a serious quest to reveal some ultimate truths, that calls for a alternative style of documentary. Morris eloquently adopts the film noir genre convention and the mechanism to voice a troubled minority, against the predetermined truth of the matter. Voice-over, flashback, subjective camera, and multiplicity are the cinematic apparatus of the noir mechanism that are used in the reenactments of the murder. Morris represents for us the figure or image, the stereotype of criminal, by representing what others imagine Adams said and did. He allows us to see how criminality is constructed by an historically, materially motivated subjectivity. The preferred technique that Morris uses to draw subjectivity from social actors is to set up a situation in which the action will come to Morris. In this privileged moment of verite the past repeats. We thus see the power of the past by finding its traces, in repetitions and resistances, in the present. The strategy Morris employed in the use of cinematic apparatus enables audiences to see the Adams’case from a radically different perspective, thus the filmic experience of the disturbing multiplicity eventually yields an ethical reaction from the audiences. The film was credited with overturning the conviction of Adams, a crime for which he was originally sentenced to death.
목차
1. 들어가며
2. 문제제기
3. 에롤 모리스와 그의 작품 개요
4. 극영화에서 다큐멘터리의 활용: 필름 느와르
5. 필름 느와르 영화적 장치들에 대한 고찰
6. <가늘고 푸른 선> 분석
6.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 강점 말기와 유신 정권 시기의 국책선전영화 비교 연구
- 유신체제기 한국영화 <증언>(1974)의 영화적 특징과 시대적 특수성
- 조선영화 태동기의 일꾼 이구영의 영화인생론
- 쇼트/역쇼트에 대한 지각심리학적 접근
- 영화제작에 사용되는 모션과 페이셜 캡쳐 연구
- 열린 아시아, 닫힌 민족주의
- 리아 타지리의 영화 <역사와 기억>에 대한 연구
- 일상적 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창작수법의 혁신, 체코슬로바키아 영화(1963-1968)
- 인터랙티브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다양한 영상 실험과 미학
- 부산영상산업 발전방향 타당성 연구
- ‘한국영화 르네상스’(1997~2006)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 다큐멘터리영화의 관객소통 방식 연구
- 경북 영화산업 활성화 방안
- <잔 다르크의 열정>의 표현주의적 성격에 대하여
- 남자, 몸, 폭력 그리고 이산(離散)정체성의 정치학
- 대안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 장르 컨벤션의 활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영화의 대중성 연구
- 관계론적 입장에서 바라본 탈 중심 공간의 시각이미지 표현 방법 연구
- <써니>를 통해 본 복고 이미지와 환각적 기호로서의 향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RANSNATIONAL TROPES OF THE COMBAT FILM GEN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WAR "DIVISION FILM": BATTLE OF INCHEON: OPERATION CHROMITE (2016) and WOLMI ISLAND (1982)
- LED 월을 활용한 수중촬영 스튜디오―실시간 시각화를 위한 수중촬영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 관람자 시점 이동성에 따른 VR 공포영화의 실재감 연구: 2D영화 <곡성>과 VR영화 <부고>의 스타일 분석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