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Method of Visual Image Representation in Decentralized Spac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나소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0호, 217~23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 perceive space is to see with one’s eyes the objects arranged in space centered on an axis. We recognize what we see with our eyes, our view point is one in the moment in which we see the image, and we think in the perspective of the view point.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is not structured where the inexpressible are floating. However, even impossible figures are already structured when we try to express them. To see an object means to interpret it since human beings look at an object in a certain perspective and angle. As such, a phenomenon is combined with a meaning in that we interpret it. In order to deal with the structures of centrifugal spatial images, the current researcher adapts the concept of rhizome and the theory of hyper-cube from Deleuze and Guattari. The objects of this study include view points for seeing and images of centrifugal spatial structures. This study limits itself to visual images in the analysis of the multi-viewpoint space. The current researcher has selected and out of MC Asher’s relativity image series as still images. She also has selected as film images with the concept of time, the expression of the spaces within the space ship in Stanley Kubrick’s 1968 movie <2001: A Space Odyssey>, the space-switching shots in Michel Gondry’s 1999 music video Let Forever Be, and the shots that express space by the movement of objects in Christopher Nolan’s 2010 movie . She has analyzed the objects’ plane and spatio-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concept of rhizome an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hyper-cub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perspective of seeing a 3-dimensional space from the hyper-cube, it turns out that the objects of the analysis are ex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central axis and the change of viewpoints. This is co-existential parallelism between dimensions in which one can see an object from a different viewpoint via images showing changes of viewpoints without modification. Explained in terms of the hyper-cube, these images show characteristics of Deleuze’s and Gattary’s rhizome including centrifugal, non-boundary, and disordered order. The flow of multi-viewpoints shows the change of space as its form changes in the course of its transformation. We can identify tha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 unrealistic structure are revealed including heterogeneous combination of opposite spaces, paradoxical contradiction, changes of viewpoints, and movement of time and space. We can find out that these de-structural and centrifugal characteristics of rhizome reveal themselves by juxtaposing the existing concentrated and ordered spaces indifferent dimensions. Due to this, we can conclude that they extend the links among thoughts and the expression of multi-viewpoint images presents diverse perspectives from different dimensions. Thus, the current researcher hopes to contribute in future to the development of spectacular images expressed in film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 shown by such various perspectives in developing visual effects of spatial imag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시각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탈 중심 구조 공간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 강점 말기와 유신 정권 시기의 국책선전영화 비교 연구
- 유신체제기 한국영화 <증언>(1974)의 영화적 특징과 시대적 특수성
- 조선영화 태동기의 일꾼 이구영의 영화인생론
- 쇼트/역쇼트에 대한 지각심리학적 접근
- 영화제작에 사용되는 모션과 페이셜 캡쳐 연구
- 열린 아시아, 닫힌 민족주의
- 리아 타지리의 영화 <역사와 기억>에 대한 연구
- 일상적 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창작수법의 혁신, 체코슬로바키아 영화(1963-1968)
- 인터랙티브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다양한 영상 실험과 미학
- 부산영상산업 발전방향 타당성 연구
- ‘한국영화 르네상스’(1997~2006)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 다큐멘터리영화의 관객소통 방식 연구
- 경북 영화산업 활성화 방안
- <잔 다르크의 열정>의 표현주의적 성격에 대하여
- 남자, 몸, 폭력 그리고 이산(離散)정체성의 정치학
- 대안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 장르 컨벤션의 활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영화의 대중성 연구
- 관계론적 입장에서 바라본 탈 중심 공간의 시각이미지 표현 방법 연구
- <써니>를 통해 본 복고 이미지와 환각적 기호로서의 향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