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RANSNATIONAL TROPES OF THE COMBAT FILM GEN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WAR "DIVISION FILM": BATTLE OF INCHEON: OPERATION CHROMITE (2016) and WOLMI ISLAND (1982)

이용수  0

영문명
전투 영화 장르의 초국가적인 트로프에 관한 연구: 한국전쟁 남북 "분단 영화" 비교 분석: 인천상륙작전(2016)과 월미도(1982)를 중심으로
발행기관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저자명
Michael A. Unger
간행물 정보
『영상기술연구』제42호, 21~4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e combat war film genre, established in Hollywood during World War II, in its permutations across world cinema continues to demonstrate a remarkable transnational paradox: although their ideologies are specifically determined by their nation states and film industries as reconstructed historical representations of war, together they partake in the common purpose to frame violent conflict as a constructed metanarrative of cinematic violence-one that fulfills the dual purposes of entertainment value for mass audiences as well as a cinematic expression of a collective remembrance. One unique subgenre of the combat film that North and South Korea share is the "division film" that depicts a theme based on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or uses it as an overt narrative element. The South Korean film Battle of Incheon: Operation Chromite (John H. Lee, 2016) and the North Korean film Wolmi Island (Cho Gyong-sun, 1982) respectively depict the Battle of Incheon from opposing ideological perspectives, yet they both share and employ four essential tropes of the combat film genre: (1) the Infallible Father in the form of a leader, (2) who leads a combat unit against overwhelming odds, (3) with a clear-cut purpose or mission, (4) that gives their deaths a meaningful sacrifice at the behest of the nation. Cinematically these moments of combat are rendered throughout the film with a specific visual punctuation that portrays them as sensationalized spectacles to prioritize viewer empathy and an unproblematic sentimentality towards the traumatic events. This article seek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wo Korean War films as a case study to illuminate how cinematic warfare in this genre is thus aestheticized and anesthetized to a particular narratological and visual formula that treats war experience in the same reductive manner that crosses national boundaries of nationalism and ideology.

영문 초록

제 2차 세계대전을 겪으며 할리우드에서 자리잡은 전투 영화 장르는 월드 시네마를 아울러 초국가적 순열 안에서 주목할 만한 초국가적인 패러독스를 보여주고 있다. 비록 그 이데올로기는 각 나라와 그들의 영화산업에 따라 전쟁에 대한 역사적인 대표성이 구체적으로 정해지지만 영화적인 폭력으로 짜여진 복합서사인 폭력적인 전투가 틀이라는 공통의 목적을 함께 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짜여진 복합서사는 집단적인 추모로써의 영화적인 표현 뿐만 아니라 대중을 위한 오락적인 가치로써도 공히 두가지 목적을 성취하고 있다. "분단영화"는 전투 영화 장르의 하위 장르로 남한과 북한이 유일하고 독특하게 갖고 있는데 이 "분단영화"는 한반도 분단을 주제 다루고 있으면서 공공연한 내러티브 요소로도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영화 인천상륙작전(이재한, 2016)과 북한의 영화 월미도 (조경선, 1982)는 인천상륙작전을 각기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지만 두 작품 모두 전투 영화 장르의 네가지 필수적인 트루프를 갖고 있다: (1) 틀림없고 확고한 아버지인 지도자가, (2) 감당하기 벅찬 역경에 맞서 전투부대를 이끌고, (3) 명확한 목적이나 임무가 있으며, (4) 그들의 죽음은 국가의 명령에 따른 숭고한 희생을 의미한다. 영화적으로 이러한 전투의 순간들은 작품 속에서 트라우마적인 사건에 대해 관객들이 감정이입과 센티한 감성을 바로 우선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시각적인 마침표를 제시해 주고 있다. 이 논문은 이 전투영화 장르 안에서 두 한국전쟁 영화의 비교 분석을 통해 영화적인 전투가 어떻게 미화되고 불감증화 되었는지 조명해 보고 영화적인 전투가 국가주의와 이데올로기의 국가적인 경계를 아울러 보더라도 그저 상투적인 전쟁 경험으로 취급되는 것에 대해 특별한 내러톨로지와 시각적 방식으로 사례연구를 하고 있다.

목차

I. Introduction
II.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Michael A. Unger. (2023).TRANSNATIONAL TROPES OF THE COMBAT FILM GEN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WAR "DIVISION FILM": BATTLE OF INCHEON: OPERATION CHROMITE (2016) and WOLMI ISLAND (1982). 영상기술연구, (), 21-44

MLA

Michael A. Unger. "TRANSNATIONAL TROPES OF THE COMBAT FILM GEN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WAR "DIVISION FILM": BATTLE OF INCHEON: OPERATION CHROMITE (2016) and WOLMI ISLAND (1982)." 영상기술연구, (2023): 2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