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pen Asia, Closed Nationalism: Results And Limits of 'Inter-Asian Film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강내영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0호, 7~4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Inter-Asian Film Community'. This study announce a statement, which is at the 'Busan Cinema Forum’ in the 16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is study will discuss four points to explore 'Asian film community'. Firstly, will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of exchanges and reception of the Korean film study in Asia through statistical reports. Secondly, will provide an analysis of Korean films, image formation in Asian films, and possibilities of film community. Thirdly, categorizing and analyzing Asian film exchanges, which are 'Market-friendly film', 'governmentalist film', 'Natural-occurrence', Fouthly, provide realistic alternatives for 'Asian film community'. There are obvious obstacles that hinder the formation of Asian community through film, which are nationalism, historical debates, territorial problem, cultural conflicts, unbalanced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The Asian film community faces many obstacles: government and patriotism intervene where cultural actions areneeded, ethnic nationalism intrudes where cultural tolerance is necessary, and regulation is rampant in places where cultural freedom should be prominent. I'd like to offer a few specific ideas to realize the 'Asian film community'. Firstly, need to advance toward the more joint productions. Secondly, need to invigorate the exchange programs, starting with the Asian film festivals. Thirdly, need to academic exchange programs in Asia, which are jointly developing a curriculum on Asian film history, researching the theory of traditional Asian aesthetics, establishing joint degree programs, etc. The 'Asian film community' is a cultural community that transcends different political system,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races, nationality, etc, and aspires toward mutual respect, equality, and peace. It is political reflction that acknowledges to surpass the issues of political system and natioanal-state. And, it is a cultural realization that affirms the influences of market system, yet focuses on the cultural essence. It is an open space for discussing diversity, which refuses a homogenous cultural identity and community, and it is a democratic action, initiated by those who enjoy film instead of government or elite intellectuals.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 강점 말기와 유신 정권 시기의 국책선전영화 비교 연구
- 유신체제기 한국영화 <증언>(1974)의 영화적 특징과 시대적 특수성
- 조선영화 태동기의 일꾼 이구영의 영화인생론
- 쇼트/역쇼트에 대한 지각심리학적 접근
- 영화제작에 사용되는 모션과 페이셜 캡쳐 연구
- 열린 아시아, 닫힌 민족주의
- 리아 타지리의 영화 <역사와 기억>에 대한 연구
- 일상적 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창작수법의 혁신, 체코슬로바키아 영화(1963-1968)
- 인터랙티브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다양한 영상 실험과 미학
- 부산영상산업 발전방향 타당성 연구
- ‘한국영화 르네상스’(1997~2006)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 다큐멘터리영화의 관객소통 방식 연구
- 경북 영화산업 활성화 방안
- <잔 다르크의 열정>의 표현주의적 성격에 대하여
- 남자, 몸, 폭력 그리고 이산(離散)정체성의 정치학
- 대안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 장르 컨벤션의 활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영화의 대중성 연구
- 관계론적 입장에서 바라본 탈 중심 공간의 시각이미지 표현 방법 연구
- <써니>를 통해 본 복고 이미지와 환각적 기호로서의 향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