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Popularity of Film through Poetics of Aristotl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lot-structure in “Love” and “A Bittersweet Lif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혜원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0호, 185~21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comparatively to analyze the plot-structure of the film “Love” and “A Bittersweet life” through Poetics of Aristotle. These films are chosen for good or bad response or feedback from viewers and found the reason of its sophisticated plot-structure. This study is meant to look into the plot-structure of the movie “Love” anad “A Bittersweet Life”, based on principles that Poetics of Aristotle mention in order to constitute an elaborated plot. So, this study is mainly to clarify and present the integral elements or requirements in film scenario that Korean films should gain to be even more successful in many ways. After reviewing probability and necessity, unity, tragic action of hero, the catharsis of affliction and pleasure effected by pity and fear, reversal and recognition, complication and denouement, I point out the following. Firstly, characters and plot of “A Bittersweet Life” have more unity than those of “Love”. “Love” yet become way off the mark or way out of line in that it tries to choose and combine those Secondly, “Love” represents weak senses of probability and universality in its plot, and there are many events which are far from either integral or causal. But “A Bittersweet Life” is excellent in probability and universality. Therefore, viewers can feel stronger catharsis through fearfulness and sympathy in “A Bittersweet Life” than in “Love”. Thirdly, the plot of “A Bittersweet Life” may be classified as so-called unity on the other hand “Love” may be called complex plot. One can say that because interpretation and response about poetics of Aristotle can vary, depending on which days and times we live in, this research result is limited Nevertheless, given that the poetics of Aristotle is regarded as and even called the bible of tragedy up until now, in light of its criteria, this study may serve as alternative guidances and perspectives on plot-structure of popularity in Korean movies. Nevertheless, given that the poetics of Aristotle is regarded as and even called the bible of tragedy up until now, in light of its criteria, this study may serve as alternative guidances and perspectives on plot-structure in Korean romantic movi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사랑>과 <달콤한 인생>의 내러티브 분석
IV. 결론: 플롯의 비교분석 결과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 강점 말기와 유신 정권 시기의 국책선전영화 비교 연구
- 유신체제기 한국영화 <증언>(1974)의 영화적 특징과 시대적 특수성
- 조선영화 태동기의 일꾼 이구영의 영화인생론
- 쇼트/역쇼트에 대한 지각심리학적 접근
- 영화제작에 사용되는 모션과 페이셜 캡쳐 연구
- 열린 아시아, 닫힌 민족주의
- 리아 타지리의 영화 <역사와 기억>에 대한 연구
- 일상적 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창작수법의 혁신, 체코슬로바키아 영화(1963-1968)
- 인터랙티브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다양한 영상 실험과 미학
- 부산영상산업 발전방향 타당성 연구
- ‘한국영화 르네상스’(1997~2006)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 다큐멘터리영화의 관객소통 방식 연구
- 경북 영화산업 활성화 방안
- <잔 다르크의 열정>의 표현주의적 성격에 대하여
- 남자, 몸, 폭력 그리고 이산(離散)정체성의 정치학
- 대안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 장르 컨벤션의 활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영화의 대중성 연구
- 관계론적 입장에서 바라본 탈 중심 공간의 시각이미지 표현 방법 연구
- <써니>를 통해 본 복고 이미지와 환각적 기호로서의 향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