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ynamic of the Korean Cinema Renaissance(1997~2006) : On the Dislocation of the High Modernism of the Film Industry and Aesthetic Renaissanc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주창규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0호, 507~54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attemt to identify the dynamic of the Korean cinema renaissance(1997~2006). Firstly, it is important to rocognize the Korean cinema renaissance as the complexive cultural phenomenon which is consisted and overdetermined by 'the industrial renaissance' and 'the aesthetic renaissance'. Secondly, I propose the periodization of the contemporary Korean cinema history, which are three phaes that are the period of the depression(1970s~1980s early), the period of the modernization(1980s middle ~ 1990s middle), and the period of the advanced modernizstion(1997~2006). And I analyze the the complexive cultural phenomenon of the Korean cinema renaissance as the dislocation of 'the industrial renaissance' and 'the aesthetic renaissance'. Thirdly, I analze the dynamic of 'the industrial renaissance' as the combination of the the high modernism and the financial capital in the film industry. Fourthly, I analyze the dynamic of the the aesthetic renaissance as the discursive transcoding(Michael Ryan) of the late democracy(Dipesh Chackrabarty)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e charateristric of the aesthetic in Korean cinema renaissance are the radical experiment of the film form, the desire which deconstruct the authority as the threating of the power, the proliferation of the rebellious film genre, the creative appropriation of film genre that is the deconstructive rewriting. Those are the transcoding the discursive formation of the Korean society in late democracy. Consequenty the Korean cinem renaissance is the various effect of the constellation, that is driven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industrial renaissnce as the finanscape and the aesthetic renaissance as the ideoscape in Korean society.
목차
1. 복합적 문화현상으로서 ‘한국영화 르네상스’
2. 한국영화산업의 ‘하이 모더니즘’과 <괴물>의 탄생
3. ‘후기 민주주의’ 시대의 문화 논리와 ‘미적 르네상스’
4. 자본과 이념의 탈구 그리고 ‘충무로 메티스’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 강점 말기와 유신 정권 시기의 국책선전영화 비교 연구
- 유신체제기 한국영화 <증언>(1974)의 영화적 특징과 시대적 특수성
- 조선영화 태동기의 일꾼 이구영의 영화인생론
- 쇼트/역쇼트에 대한 지각심리학적 접근
- 영화제작에 사용되는 모션과 페이셜 캡쳐 연구
- 열린 아시아, 닫힌 민족주의
- 리아 타지리의 영화 <역사와 기억>에 대한 연구
- 일상적 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창작수법의 혁신, 체코슬로바키아 영화(1963-1968)
- 인터랙티브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다양한 영상 실험과 미학
- 부산영상산업 발전방향 타당성 연구
- ‘한국영화 르네상스’(1997~2006)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 다큐멘터리영화의 관객소통 방식 연구
- 경북 영화산업 활성화 방안
- <잔 다르크의 열정>의 표현주의적 성격에 대하여
- 남자, 몸, 폭력 그리고 이산(離散)정체성의 정치학
- 대안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 장르 컨벤션의 활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영화의 대중성 연구
- 관계론적 입장에서 바라본 탈 중심 공간의 시각이미지 표현 방법 연구
- <써니>를 통해 본 복고 이미지와 환각적 기호로서의 향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