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ale Body, Violence and the Politics of Diaspora Identit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영일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0호, 79~10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Just as shown in a film (2010), Korean ethnic diaspora from China is considered disruptive as much as they appear to destabilize the economic order of Korea. Whether it be true or not, they are regarded illegal immigrants, cheap day labourers, black market racketeers and organized crime gang members. But at the center of disorder that Korean ethnic diaspora from China returning to their motherland creates is the contradiction of Korean national identities. Since the formation of Korean national identity began to emerge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liberation,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of the North and the South, without unifying force of the nation that could set the boundaries of the land, the people, the political system and the law, its development has taken diverse directions. In fact, what the return of the diaspora brings back is a piece of the development in the past, which may not be in agreement with what the Korean identity, a basis of the democratic and capitalistic nation, is about now. Violent disruption in the text , in terms of the pervasive violence that ruptures the flow of the text, is symptomatic of the clash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of the Korean national identities. As Frantz Fanon asserts in his book Black Skin and White Masks(1952), the national identity for the country in and out of the colonial experiences forms in a process of the realization that propels the nation from being ruled to the self-governing. Following Lacan's theorization, he suggests that this is a transformation of the other to the subject. However, this appropriation of the dichotomous relationship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by the colonial subject is not one directional. To the goal of the self-governing, the national can take diverse tactics that result in the various forms of the natinal identity. The diversity in the national identity is a burden to the countries, no matter how much they are determined to the independence, as well as a source of contradiction that undermines the wholeness of the national identity. The fragility of a post-colonial country like Korea lies in the past of different national identity that keeps coming back as in the return of the Korean diaspora.
목차
1. 서론
2. 디아스포라 정체성
3. 정체성의 구조와 변동
4.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귀환 그리고 <황해>
5. 디아스포라 정체성과 폭력
6. 다른 시간들의 조우
7. 조선족과 타자성
8.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 강점 말기와 유신 정권 시기의 국책선전영화 비교 연구
- 유신체제기 한국영화 <증언>(1974)의 영화적 특징과 시대적 특수성
- 조선영화 태동기의 일꾼 이구영의 영화인생론
- 쇼트/역쇼트에 대한 지각심리학적 접근
- 영화제작에 사용되는 모션과 페이셜 캡쳐 연구
- 열린 아시아, 닫힌 민족주의
- 리아 타지리의 영화 <역사와 기억>에 대한 연구
- 일상적 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창작수법의 혁신, 체코슬로바키아 영화(1963-1968)
- 인터랙티브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다양한 영상 실험과 미학
- 부산영상산업 발전방향 타당성 연구
- ‘한국영화 르네상스’(1997~2006)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 다큐멘터리영화의 관객소통 방식 연구
- 경북 영화산업 활성화 방안
- <잔 다르크의 열정>의 표현주의적 성격에 대하여
- 남자, 몸, 폭력 그리고 이산(離散)정체성의 정치학
- 대안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 장르 컨벤션의 활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영화의 대중성 연구
- 관계론적 입장에서 바라본 탈 중심 공간의 시각이미지 표현 방법 연구
- <써니>를 통해 본 복고 이미지와 환각적 기호로서의 향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RANSNATIONAL TROPES OF THE COMBAT FILM GEN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WAR "DIVISION FILM": BATTLE OF INCHEON: OPERATION CHROMITE (2016) and WOLMI ISLAND (1982)
- LED 월을 활용한 수중촬영 스튜디오―실시간 시각화를 위한 수중촬영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 관람자 시점 이동성에 따른 VR 공포영화의 실재감 연구: 2D영화 <곡성>과 VR영화 <부고>의 스타일 분석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