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Communication Method of Documentary Films: Centering on Old Partner, Our School, and Repatriation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민경원 채희주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0호, 279~30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udiences are recently growing interested in documentary films. Although Old Partner(2008) involves a non-commercial subject matter and has the limitations of a documentary genre, it attracted a large audience of 292 million and 9,704 people, fueling a great syndrome. Not only this work, but also Our School(2006) and Repatriation(2003) documentaries are famous for their fueling of sustained favorable response. These documentary films overcame the limitations of independent films, and tried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in the general commercial film market structure. South Korea’s film industry focused on commercial films has a monopolistic pattern, and vertical and horizontal structure. Low-budget independent films or documentaries have minimal presence in the film industry. To communicate with greater audiences, new methods should be devised and greater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for documentary films to be shown. In this sense, Old Partner, Our School and Repatriation executed new strategies to better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and succeeded in promoting themselves, thereby opening a new horizon not only for documentaries but also for low-budget independent films. In the case of Old Partner, Our School and Repatriation, not only their screening but also their contents are very meaningful. These works show the diverse spectrums of Korea’s modern history, and try to communicate the message of living as “us”in South Korea to the audience. Like these three works, many documents that will be produced, distributed and screened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is paper examines the production of documentary films centering on Old Partner, Our School and Repatriation, as well as the method of their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목차
1. 서론
2. 한국 다큐멘터리의 산업적 특성
3. 한국 다큐멘터리의 관객 소통 방법
4. 한국 다큐멘터리의 관객 소통 콘텐츠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 강점 말기와 유신 정권 시기의 국책선전영화 비교 연구
- 유신체제기 한국영화 <증언>(1974)의 영화적 특징과 시대적 특수성
- 조선영화 태동기의 일꾼 이구영의 영화인생론
- 쇼트/역쇼트에 대한 지각심리학적 접근
- 영화제작에 사용되는 모션과 페이셜 캡쳐 연구
- 열린 아시아, 닫힌 민족주의
- 리아 타지리의 영화 <역사와 기억>에 대한 연구
- 일상적 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창작수법의 혁신, 체코슬로바키아 영화(1963-1968)
- 인터랙티브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다양한 영상 실험과 미학
- 부산영상산업 발전방향 타당성 연구
- ‘한국영화 르네상스’(1997~2006)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 다큐멘터리영화의 관객소통 방식 연구
- 경북 영화산업 활성화 방안
- <잔 다르크의 열정>의 표현주의적 성격에 대하여
- 남자, 몸, 폭력 그리고 이산(離散)정체성의 정치학
- 대안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 장르 컨벤션의 활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영화의 대중성 연구
- 관계론적 입장에서 바라본 탈 중심 공간의 시각이미지 표현 방법 연구
- <써니>를 통해 본 복고 이미지와 환각적 기호로서의 향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대학 등 영상교육기관들의 초고화질 영상교육의 현안과 과제-UHD를 중심으로-
- 극영화에서 프로덕션디자이너의 색채계획 방법론-색채계획 수립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차세대 미디어를 위한 멀티채널운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