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omotion Plans of the Film Industry in Gyeongbuk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서곡숙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0호, 311~33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film industry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because it is a important field of culture industry, mixing culture with industry, digital technology, and it has full-duplex and pervasive effect. But concentrating on the capital region caused an inequality of culture industry.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the projects to revigorate the film industry in Gyeongbuk province because of a high standard in the number of a companies and employees. It is necessary to go ahead with plans by stages for growth of the film industry in Gyeongbuk province. The first, the promotion plans to network the film industry are to manage forums of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the academic world, to secure channels of renovation network, to gather databases about pool of experts, to conclude agreements with exchanges between industry and the academic world, and to connect innovative resources of the agencies concerned. The second, the promotion plans to support companies are to investigate demands of the companies, to manage the growth of companies, to go on with programs supporting and connecting companies, and to support production of contents and inauguration of enterprises. The third, the promotion plans to cultivate experts are to educate centering around the field, to exchange between industry and the academic world, to found technology researches, to proceed with education programs, to educate new technique for men of business, to conduct seminars on a special technology, and to support study by observation of young people. The fourth, the promotion plans to revitalize locations are to make policy for support, to construct support system for locations of a wide area,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about the film industry, to connect with the tourist industry, and to organize film commission.
목차
1. 지역 영화산업 연구의 필요성
2. 경북 영화산업 현황 분석
3. 경북 영화산업 활성화 방안
4. 영화산업 발전을 위한 단계별 시행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 강점 말기와 유신 정권 시기의 국책선전영화 비교 연구
- 유신체제기 한국영화 <증언>(1974)의 영화적 특징과 시대적 특수성
- 조선영화 태동기의 일꾼 이구영의 영화인생론
- 쇼트/역쇼트에 대한 지각심리학적 접근
- 영화제작에 사용되는 모션과 페이셜 캡쳐 연구
- 열린 아시아, 닫힌 민족주의
- 리아 타지리의 영화 <역사와 기억>에 대한 연구
- 일상적 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창작수법의 혁신, 체코슬로바키아 영화(1963-1968)
- 인터랙티브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다양한 영상 실험과 미학
- 부산영상산업 발전방향 타당성 연구
- ‘한국영화 르네상스’(1997~2006)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 다큐멘터리영화의 관객소통 방식 연구
- 경북 영화산업 활성화 방안
- <잔 다르크의 열정>의 표현주의적 성격에 대하여
- 남자, 몸, 폭력 그리고 이산(離散)정체성의 정치학
- 대안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 장르 컨벤션의 활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영화의 대중성 연구
- 관계론적 입장에서 바라본 탈 중심 공간의 시각이미지 표현 방법 연구
- <써니>를 통해 본 복고 이미지와 환각적 기호로서의 향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