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f Lee, Guyeong's Film Lif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수남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0호, 45~7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ee, Guyeong who is the senior of Chosun Film world was very important film artist in the history of Chosun film. He was scenario writer, film critic, filmmaker, producer etc. in various part of chosun film world from the first of chosun film history. He arrived at Chosun on May 1923 from Japan. He study film in Japan. After arriving at Chosun he worked in journalism and he tried to have relationship various people of theater and film part. Especially he met with Hyun cheol that is very good chance to establish . They had a dream to revolution of the world of theater and film of Chosun. After all Lee, Guyeong began to work as publicity manager in Danseongsa movie house. In here he made a first film by Bak, seungpill who is a president of Daneongsa. Untill 1935 he made 6 film works and writed 4 senarios. And also he writed the first sound film in Chosun. That is in 1935. His representive national film is . In film he expressed imperial japanese as contagious disease infection Japanese custom and thought to Chosun people. But he leaved from Chosun film world from 1935 to 1945. He giveed up his working during ocupation Chosun by Japanese for 10years. After liberation from imperial Japan Lee, Guyeong began to work many film works. Untill 1954 he made one works and writed 10 scenario for 6 fiction films and four documentary films for liberation film. His works, (1946), (1948), (1952) etc. expressed the ideology of liberation from imperial Japan and the will, proud of Korean. Lee, Guyeong is a only nationalist film director to pursuit the total development of Chosun Film.
목차
I. 이구영은 누구인가
II. 이구영의 영화비평 의식과 영화선전 활동
III. 조선배우학교 설립
IV. 이구영의 영화작품 활동
V. 이구영의 영화 이상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 강점 말기와 유신 정권 시기의 국책선전영화 비교 연구
- 유신체제기 한국영화 <증언>(1974)의 영화적 특징과 시대적 특수성
- 조선영화 태동기의 일꾼 이구영의 영화인생론
- 쇼트/역쇼트에 대한 지각심리학적 접근
- 영화제작에 사용되는 모션과 페이셜 캡쳐 연구
- 열린 아시아, 닫힌 민족주의
- 리아 타지리의 영화 <역사와 기억>에 대한 연구
- 일상적 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창작수법의 혁신, 체코슬로바키아 영화(1963-1968)
- 인터랙티브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다양한 영상 실험과 미학
- 부산영상산업 발전방향 타당성 연구
- ‘한국영화 르네상스’(1997~2006)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 다큐멘터리영화의 관객소통 방식 연구
- 경북 영화산업 활성화 방안
- <잔 다르크의 열정>의 표현주의적 성격에 대하여
- 남자, 몸, 폭력 그리고 이산(離散)정체성의 정치학
- 대안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 장르 컨벤션의 활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영화의 대중성 연구
- 관계론적 입장에서 바라본 탈 중심 공간의 시각이미지 표현 방법 연구
- <써니>를 통해 본 복고 이미지와 환각적 기호로서의 향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