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Close-up Short Effect and Narration of Almodovar’s Film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태리 양윤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5호, 61~9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알모도바르의 영화 <줄리에타>의 클로즈업 쇼트와 내레이션을 중 심으로 분석한다. 클로즈업은 독특한 영상 화법 중 하나로 <줄리에타>에서 알모 도바르의 적극적 표현수단으로 활용되었다고 파악되기 때문이다. 클로즈업 쇼트 분석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하여 <줄리에타>의 주요 클로 즈업 쇼트를 서술적 기능, 심리적 기능, 상징적 기능으로 분리하여 내러티브 서사 에서 발휘하는 쇼트의 효과와 결론을 제시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알모도바르 의 영화 <줄리에타>의 서사 전개가 능동적 관람자의 활동과 상호작용하는 내러 티브 영화로서의 기능을 파악한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다양한 장르별 영화가 쇼 트와 내레이션의 분석에 대하여 깊이 있는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close-up shots, expressed in Almodovar’s film . The method of using close-up is one of Almodovar’s unique video narratives, which is understood as a means of active expression. To discuss the close-up shot analysis in detail, main close-up shots in are distinguished into descriptive, psychological, and symbolic functions which presents the effect and conclusion of the shot in the narratives. Through descriptive close-up, the role of inducing the naturalness of narratives flow and concentrating the audience’s attention is analyzed. The psychological close-up is analyzed as a role that allows the audience to empathize with the character through the descriptions of psychological close-up. In addition, a close-up of symbolic elements of objects or characters is analyzed to maximize tension and induce immersion. It will be the good opportunity to see the effect of a close-up shot that has an important part of the narratives in Almodovar’s film .
목차
1. 들어가며
2. 클로즈업 쇼트와 내레이션
3. <줄리에타>에서 클로즈업 쇼트와 내레이션 분석
4. 나오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언어로서의 빛의 역설
- 켄 로치 영화의 변화와 연속성
- 고교학점제에서의 영화교육 방향
- ‘화폐영화’의 작동 원리 <올드보이>의 감독은 누구냐?
- 해양성의 기표를 통한 바다 이미지 변천에 관한 연구
- 죽음에 이르는 어둠
- 알모도바르의 영화 <줄리에타>의 클로즈업 쇼트 분석에 대한 연구
- 악당 탄생의 구조적 접근 방법 연구
- 한국영화사에서 모더니즘의 탈존이라는 문제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르네 지라르의 ‘욕망의 삼각형’을 통한 <기생충>의 재해석
-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남한, 북한, 한미 합작영화의 비교 연구
- 히든: 진실의 진실에 대하여
- 영화연구 제85호 목차
- 누벨바그 영화에 나타난 파리의 장소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