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interpretation of Parasite through the Triangle of Desire by René Girard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시무 황영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5호, 293~31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르네 지라르의 ‘욕망의 삼각형’이라는 개념틀로 봉준호 감독의 <기 생충>을 분석한 것이다. 지라르의 전제는 욕망의 주체는 대상을 직접적이고 자발 적으로 욕망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중개자(仲介者)를 통해서 모방한다는 것이 다. 극중기우가박사장의딸다혜를사랑하게된것은민혁이란중개자를통해 서였다. 그런데 이 모방욕망은 전염성을 가지고 있다. 다혜의 입장에서 볼 때, 그 녀가 기우에게 적극적일 수 있었던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기정의 존재 때문인영화 데, 이는 다혜가 기정을 기우의 여자친구로 오인하는 데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다혜에게는 기정이 욕망의 중개자로 등장한 셈이다. 기택과 근세도 동익을 둘러싸고 결국 상호 중개를 통한 ‘욕망의 삼각형’을 형성하게 되는데, 지하벙커에 살면서 박사장에게 존경을 표하던 근세의 행동을 기 택이 나중에 그대로 모방하게 되는 것이다. 충숙과 문광도 연교를 둘러싸고 역시 상호 중개를 통한 ‘욕망의 삼각형’을 형성하게 되는데, 사모님처럼 보였던 문광의 행보를 나중에 충숙이 그대로 모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근세와 문광은 욕망 의 중개자로 각각 기택과 충숙의 모방욕망을 부추겼던 것이다. 가족 구성원 개개인을 집단으로 확대하면 ‘욕망의 삼각형’은 보다 분명한 형태 로드러난다. 즉기택네가족은문광과근세부부의중개를통해서박사장가족 을욕망의대상으로삼게된것인데, 모방적경쟁으로인한갈등이증폭되고결 국 양자 간의 차이가 소멸되면서 파국을 맞게 된다. <기생충>은 모방 욕망의 실 현장이라도 되는 것처럼 지라르의 욕망이론에 잘 부합하는 텍스트라는 것이 이 글의 핵심논지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utilizes the framework of ‘triangular desire’to analyze the film, “Parasite”, directed by Bong Jun Ho. The basis of Girard’s idea is that a desire for an object is not the result of direct and autonomous attachment, but rather as a form of mimicry of a subject of desire, also referred to as a mediator. It was Min-Hyuk that acted as a mediator when Ki-woo fell in love with Da-hye, the daughter of Mr. Park. What is notable about such mimetic desire is that it is contagious. In Da-hye’s perspective, it was ironically the existence of Ki-jung, whom she mistook as Ki-woo’s girlfriend, that led her to be so enthusiastic towards Ki-woo. For Da-hye, Ki-jung was the mediator for her desire for Ki-woo. Ki-taek and Geun-sae also form a frame of triangular desire through their mutual mediation around Mr. Park. We can witness this when Ki-taek later adopts the exact ritual that Geun-sae practiced in the underground bunker when expressing his respect for Mr. Park. In the same sense, Chung-sook and Moon-gwang form another triangular desire revolving around Yeon-gyo, observable when Chung-sook later adopts the pretentious manners previously embodied by Moon-gwang. In a sense, it was Geun-sae and Moon-gwang that respectively indulged the mimetic desires of Ki-tae and Chung-sook. The frame of triangular desire becomes even more visible when we group individual characters into familie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mediation of Moon-gwang and Geun-sae led to the Kims perceiving the Parks as a target of desire. Eventually, conflict arising from mimetic competition is escalated to a point where difference is obliterated, and everything falls apart. This paper underlines how well the film ‘Parasite’ fits into Girard’s concept of desire, as if it was a case study for mimetic desire.
목차
1. 머리말
2. 지라르의 욕망 이론으로 본 <기생충>의 인물관계
3. 지라르의 욕망이론으로 본 <기생충>의 장면 분석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언어로서의 빛의 역설
- 켄 로치 영화의 변화와 연속성
- 고교학점제에서의 영화교육 방향
- ‘화폐영화’의 작동 원리 <올드보이>의 감독은 누구냐?
- 해양성의 기표를 통한 바다 이미지 변천에 관한 연구
- 죽음에 이르는 어둠
- 알모도바르의 영화 <줄리에타>의 클로즈업 쇼트 분석에 대한 연구
- 악당 탄생의 구조적 접근 방법 연구
- 한국영화사에서 모더니즘의 탈존이라는 문제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르네 지라르의 ‘욕망의 삼각형’을 통한 <기생충>의 재해석
-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남한, 북한, 한미 합작영화의 비교 연구
- 히든: 진실의 진실에 대하여
- 영화연구 제85호 목차
- 누벨바그 영화에 나타난 파리의 장소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