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Korean Films, North Korean Films and South Korea-U.S. Collaboration Films on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Focused on the Representation of War and Familism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강성률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5호, 227~25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전쟁 가운데 가장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는 인천상륙작전을 그린 영화를 비교⋅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천상륙작전에 대한 남한 영화, 북한영화, 한미합작영화의재현등을서로비교하고대조하면서영화가그나 라의 시대적 분위기와 집단적 무의식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연구했다. 남한 영화에서는 전쟁의 주체가 남한군이고, 미국과 함께 작전을 수행했다고 재현한다. 그래서 소재를 선택할 때에도 첩보전이나 팔미도 등대 작전, 양동작전 영화 등을 주로 그린다. 이에 비해 북한 영화에 재현된 인천상륙작전은 지휘부의 수월한 후퇴를 위해 벌인 영웅적 전투에 대해 이야기한다. 북한 영화는 한국전쟁을 북한과 미국의 전쟁으로 그리고, 남한군은 아예 등장하지도 않는다. 한미 합작영 화인 <인천>에서는 잔혹한 공산 세력에 맞서 싸우는 미국과 남한, 일본의 요원들 이 등장하고, 이들은 기독교적 사상을 지닌 채 전쟁을 벌인다. 특이하게도 세 부류의 영화는 가족주의를 통해 전쟁의 아픔과 조국애, 멜로적 정서 등을 표현한다. 남한 영화에서 가족주의는 가족과의 이별의 멜로적 감정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어머니나 아버지라는 혈육을 위해 자식이 기꺼이 전투에 참가하는 것으로 그려져 결국 아버지나 어머니가 조국으로 유비되는 모 습을 보인다. 북한 영화에서는 김일성이라는 지도자가 국가로 바로 치환된다. 그 래서 김일성은 수령이면서 부모이고 국가가 되고, 인민은 그의 충실한 자식이 된 다. 한미 합작영화인 <인천>에서는 재난 영화의 컨벤션으로 부부의 사랑을 회복 하게 만들면서, 무엇보다 남한과 일본과 미국이 유사 가족을 형성해 작전을 수행 하는 것으로 재현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urposes to compare and contrast films depicting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vent in the Korean War. I intend to study how a film reflects the time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with the representaion of the South Korean film, the North Korean film, and the South Korea-the U.S. collaboration film. The South Korean films represent that the subject of the war is the South Korean military and that it conducts the Operation together with the United States. Therefore, even when choosing materials, the films usually draw the intelligence war, Palmy-do Lighthouse Operation, and feint operation. In contrast,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in the North Korean film, talks about heroic battles that had lasted three days under the absolute inferiority to make the command’s retreat easy. North Korean films portray the Korean War as a war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South Korea-the U.S. collaboration film, Incheon shows agents from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Japan who fight against the brutal communist forces, depicting the war in Christian thought. The three films express the pain of war, the love of the country and melodramatic emotion through familism. In South Korean films, familism reveals the mournful melancholic feelings of separating from the family, but rather, the children are portrayed as willing to engage in the battle for their mother or father, which she or he eventually is analogous to a nation. In the North Korean film, a leader Kim Il-sung is replaced by a nation, so Kim becomes both a parent and a nation while the people become his faithful children. On the other hand, the South Korea-the U.S. collaboration film, Incheon brings back the couple’s love with the convention of disaster films. Most of all,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ppear to carry out operations by forming similar families.
목차
1. 들어가며
2. 전쟁 양상 재현
3. 영화 속의 가족주의
4.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언어로서의 빛의 역설
- 켄 로치 영화의 변화와 연속성
- 고교학점제에서의 영화교육 방향
- ‘화폐영화’의 작동 원리 <올드보이>의 감독은 누구냐?
- 해양성의 기표를 통한 바다 이미지 변천에 관한 연구
- 죽음에 이르는 어둠
- 알모도바르의 영화 <줄리에타>의 클로즈업 쇼트 분석에 대한 연구
- 악당 탄생의 구조적 접근 방법 연구
- 한국영화사에서 모더니즘의 탈존이라는 문제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르네 지라르의 ‘욕망의 삼각형’을 통한 <기생충>의 재해석
-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남한, 북한, 한미 합작영화의 비교 연구
- 히든: 진실의 진실에 대하여
- 영화연구 제85호 목차
- 누벨바그 영화에 나타난 파리의 장소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