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 언어로서의 빛의 역설

이용수  0

영문명
Paradoxes of Light as Film Language:Why Should We Avoid a Semiological Stylization of Light?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윤혜경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85호, 159~19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화에서 빛은 디제시스 속에 재현된 것이자 디제시스 바깥에서 재현하는 것 이다. 재현된 빛은 이미지의 지각 조건에서부터 실체화된 특수한 양태까지 다양 하게 나타난다. 빛의 양태는 기호학적 관점에서 고전 영화의 코드화된 빛, 모던 영화의코드없는빛으로양식적으로분류된바있다. 필자는영화의빛을양식 적으로 분류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영화의 빛의 연구가 개별적인 작 품의 고유한 특성과 함께 행해져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우선, 코드 없는 빛의 양태는 의미의 해독불가능성을 코드화한 것이며, 빛의 양식화는 재현된 빛에 내 포된 역설적 층위를 간과함을 밝힌다. 필자는 영화의 빛에 내재된 역설적 측면을 세 가지 층위에서 조명한다. 첫째, 미메시스적 층위에서 재현된 빛은 자연적 양상 을 띨지라도 상징적 의미 해석에 대립되지 않는다. 둘째, 지각적 층위에서 환경의 공간적 분포에 기능하는 빛은 재현과 지각 활동 속에서 실체가 된다. 셋째, 수사 학적 층위에서 빛의 은유적 기능은 재현의 문화적 관습에 기대는 경향이 있으며, 빛의은유적작용은작품내의요소들과상응할때고유하게발현된다. 이와같 은 빛의 역설적 위상에 의거하여 필자는 빛의 연구가 양식화된 분류에 앞서 텍스 트 내의 작용으로 방향을 돌릴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Light in the cinema is the represented in the diegetic universe and the representing outside the diegetic. The represented light varies from the perceptual condition of image to a particular mode of substance. The mode of light has been classified as codified light of classical films and light without code of modern films from the semiological point of view. I point out the problems that arise when classifying light in the film as film styles, and insist that the study of light in the film should be done with characteristics proper to individual works. First of all, I argue that the mode of light without code is the codified light of the unreadablility of meaning, and also explain that the stylization of light overlooks the paradoxical aspect inherent in the represented light. It is revealed that paradoxical aspects of light appears on three levels: mimetic, perceptual, rhetorical. On the mimetic level, the represented light is not oppos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symbolic meaning even though it has a natural form. On the perceptual dimension, the light that function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nvironment becomes a substance in the representative and perceptual activity. On the rhetorical level, the metaphorical function of light tends to lean on the cultural convention of representation, and the metaphorical act of light is properly manifested when it corresponds to the elements in the work. Based on this paradoxical topology of light, I propose that the studies of light turn to the luminous action within the text prior to the stylized classifica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 이미지의 인식 조건으로서의 빛
2. 영화의 빛의 기호학적 양식화에 대한 재고
3. 빛의 역설적 층위 : 미메시스적, 지각적, 수사학적 층위
4. 맺는 말 : 텍스트 주변의 빛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혜경. (2020).영화 언어로서의 빛의 역설. 영화연구, (), 159-191

MLA

윤혜경. "영화 언어로서의 빛의 역설." 영화연구, (2020): 159-1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