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tructural Approach of the Birth of the Villain: Focus on Todd Phillip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채희주 민경원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5호, 257~29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화<조커>는 악당 탄생을 기존의 히어로물처럼 선과 악의 이분법적 대립에서 벗어나 구조적 접근을 통해 악의 기원에 대해 근본적인 사유를 이끌어낸다. 주인공 아서를 중심으로 영화는 악당의 탄생을 성향이나 윤리적 접근법이 아니 라 사회의 근본적인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가 만든 산물로 보고 있다. 본론에서 는 세가지 이론을 중심으로 <조커>의 구조적 해석을 시도한다. 1) 그레마스의 기 호학적 사각형 이론을 통해 아서의 행복 추구는 환상이라는 신화에 비롯되었다 는 것을 언급한다. 2) 바르트의 신화론을 통해 아서의 환상은 현실도피를 부추기 는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가 만든 신화임을 언급한다. 3) 알튀세르와 지젝의 이데 올로기 이론을 통해 주체를 사회관계 구조에 의해 결정되고 고정된 존재로 이해 하며 이데올로기의 환상을 직시하여 거리를 둘 때 이데올로기로부터 횡단할 수 있음을 언급한다. 이 연구는 영화 <조커>를 구조주의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영화 의 상징적 의미를 찾아서 악당 탄생의 기원을 구조에서 찾으려는 목적을 갖는다.
영문 초록
The film draws fundamental thinking about the origin of evil through a structured approach, deviating from the dichotomous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like the traditional heroic. With the main character Arthur, the film sees the birth of a villain not as a propensity or an ethical approach, but as a product of the ideology of the fundamental ruling class of society. In the main subject, structural analysis of is attempted based on three theories. 1) It is mentioned that the pursuit of Arthur’s happiness through Gremas’ semiotic square theory originated in the myth of fantasy. 2) Through the theory of Barth’s mythology, Arthur’s fantasy is mentioned as a myth created by the ruling class ideology that promotes escape.3) Through the theory of ideology of Althusser and Zizek, it is understood that the subject is determined and fixed by the structure of social relations, and that it is possible to cross from ideology when experiencing the subjective need by facing the illusion of ide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ilm in a structuralist way to fi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film and find the origin of the villain birth in the structure.
목차
1. 들어가며
2. 그레마스 기호학의 구조주의적 분석 방법
3. 바르트의 신화 분석 방법
4. 알튀세르와 지젝의 이데올로기 이론의 분석 방법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언어로서의 빛의 역설
- 켄 로치 영화의 변화와 연속성
- 고교학점제에서의 영화교육 방향
- ‘화폐영화’의 작동 원리 <올드보이>의 감독은 누구냐?
- 해양성의 기표를 통한 바다 이미지 변천에 관한 연구
- 죽음에 이르는 어둠
- 알모도바르의 영화 <줄리에타>의 클로즈업 쇼트 분석에 대한 연구
- 악당 탄생의 구조적 접근 방법 연구
- 한국영화사에서 모더니즘의 탈존이라는 문제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르네 지라르의 ‘욕망의 삼각형’을 통한 <기생충>의 재해석
-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남한, 북한, 한미 합작영화의 비교 연구
- 히든: 진실의 진실에 대하여
- 영화연구 제85호 목차
- 누벨바그 영화에 나타난 파리의 장소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