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ea Image Change through Maritime Signifier: Focusing on
and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조정희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5호, 355~38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해양성이라는 기표를 통해 해양영화 속 바다 이미지가 시대에 따라 어떤 식으로 변천해 왔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화는 태생적으로 사 회적 시스템의 규칙과 상업적 속성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미지를 나열하는 것만 으로 대중의 헤게모니를 간파할 수 없다. 장르는 지적, 정서적 차원과 삶에 대한 태도면에서그시대관객사회의보편적수위를감지할수있는장치이므로, 해 양영화는 바다 이미지를 통해서 시대상과 새로운 인식을 형상화시킨다. 그래서 해양영화가 보여주는 바다 이미지는 단순한 자연물과 철학적인 사유물이 아닌 영화적 사유를 대변하는 매개체가 된다. 이 연구의 관심사도 여기에 있다. 그 시대 관객들이 해양영화라는 장르의 별칭 이외에 바다를 매개로 한 영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소비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 이다. 당대 영화에는 당대의 사고가 반영되어 있는 만큼 해양성을 기표로 제작된 영화에는 그 시대의 사회ᆞ문화적인 의식이나 이데올로기가 반영되어 있다. 이러 한 사고를 바탕으로 해양성이 반영된 김수용의 <갯마을>(1965)과 김한민의 <명 량>(2014)에 적용시켜 확인해 볼 것이다. 4ᆞ19 민주화 운동과 5ᆞ16 군사정변으 로 시작된 1960년대는 우리 현대사에서 정치ᆞ경제ᆞ사회적으로 격변한 의미 있 는 해이다.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를 대변하듯이 <갯마을>의 바다 이미지는 국가 가 이끄는 원칙과 규범에 수동적으로 일관하면서 운명론적 세계관을 답습하는 태도가 보인다. 그리고 <명량>은 임진왜란 국난의 위기와 아픔이 2014년 대한민 국의 내ᆞ외부적인 상황과 결부되어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지도자와 백성의 염원이 바다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첫째, 한국영화가 표현하는 해양성과 해양영화의 장르적 개념을 먼저 확인한다. 둘째, 바다가 보여주는 속성 안에 숨어 있는 사회적 의미 행위를살펴두작품에서보이는바다이미지의변화양상을분석한다. 이를통 해 해양영화에 대한 위상을 높이고 그 가치를 확인하면서 우리 사회를 짚어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he image of the sea in a Ocean Film has changed with the times through the sign of maritime nature. The film is accompanied by social rules and commercial attributes from birth. So the audience needs to be thoroughly analyzed. The genre is a device that can sense the universal water level in the audience society of that era. Ocean Film explain the times through sea images. Therefore, the Ocean Film does not simply express the sea image, but philosophically explains it. The research interest is also here. It is to see how the audience understands and consumes Ocean Film. The contemporary film reflects the thinking of the day. Ocean Film Reflects the social and cultur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era. This is confirmed by applying it to Kim Soo-yong’s (1965) and Kim Han-min’s (2014). The 1960s began with 419 and 516. The 1960s is a meaningful year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upheaval in the modern history of Republic of Korea. The sea image of follows the fateful worldview, passively consistent as the state leads. And , the situation of Joseon is the same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 of Korea in 2014. The trauma that the audience feels is connected to the image of the sea. Through this, we consider how the sea image has changed over time. And now, I want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look into our society. For these studies First, we will first check the maritim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ms and the genre concepts of Ocean Film. Second, examine the acts of the semantic meaning expressed by the sea image.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sea image seen in the two works are analyzed.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raise the status of Ocean films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firm its value.
목차
1. 문제제기 및 연구사 검토
2. 해양성과 해양영화의 장르 개념
3. 사회적 측면에서 바라본 바다 이미지 변천 양상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언어로서의 빛의 역설
- 켄 로치 영화의 변화와 연속성
- 고교학점제에서의 영화교육 방향
- ‘화폐영화’의 작동 원리 <올드보이>의 감독은 누구냐?
- 해양성의 기표를 통한 바다 이미지 변천에 관한 연구
- 죽음에 이르는 어둠
- 알모도바르의 영화 <줄리에타>의 클로즈업 쇼트 분석에 대한 연구
- 악당 탄생의 구조적 접근 방법 연구
- 한국영화사에서 모더니즘의 탈존이라는 문제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르네 지라르의 ‘욕망의 삼각형’을 통한 <기생충>의 재해석
-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남한, 북한, 한미 합작영화의 비교 연구
- 히든: 진실의 진실에 대하여
- 영화연구 제85호 목차
- 누벨바그 영화에 나타난 파리의 장소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