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Yasujiro Ozu’s Film
and Sang-soo Hong’s Film : Focusing on the visualization of invisible image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최두영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0호, 349~37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스토리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의 제작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성장하고있다. 영화도 거기에 발맞춰 변화하고 있다. 요즘, 영화관객의 스토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영화는 점점 더 전통적 내러티브에 기반한 ‘스토리’ 매체가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영화는 ‘이미지’이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도록 하는 것, 비가시적 영역에서의 가시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이 영화이다. 고전적 문법에 충실한 내러티브 영화 만큼이나, 영화 이미지와 표현에 대한 연구도중요하다. 영화는 대중문화이지만, 시지각 예술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오즈 야스지로와 홍상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두 감독은 서로 활동하는 시/공간이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영화예술가로서 메타-영화의 관점에 대해, 시/공간의 추상적 활용에 대해, 무엇보다 비가시적 세계의 탐구를 통해 영화를 만들었다는 유사성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는 오즈야스지로감독의 영화<만춘>과 홍상수 감독의 영화<인트로덕션>의 비교분석을통해, 특히 비가시적 서사기능을 고찰하여 오즈 야스지로와 홍상수의 모더니즘적세계를 이해하려 한다. 작품연구의 근거는, 추상적 개념의 ‘시간’과 표현의 대상이 아닌 그 자체로서의 ‘사물’ 그리고 고전적 내러티브와는 다른 ‘일상’등 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production environment for story-based contents is changing and growing rapidly. The film is also changing with it. These days,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stories from cinema audience, movies are increasingly becoming a ‘story’ medium based on traditional narratives. However, on the other hand, a film is an ‘image’. Film is to express the invisible with visible images so that it can be seen. As much as a narrative film that is faithful to the classical grammar, the study of film images and expressions is also important. Because cinema is not only a story-based pop culture, but also a visual perception art. That is why it is necessary to study Yasujiro Ozu flm and Sangsoo Hong film. Although the two directors were active in different time/space, as a film artist, on the perspective of meta-film, on the abstract use of time/space, above all, it has a similarity that a film was made through exploration of the invisible world. Accordingly, this paper intends to study the modernist world of director Yasujiro Ozu and director Sangsoo Hong by examining the invisible narrative func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irector Ozu film and director Hong Sang-soo’s film . The basis for research is ‘time’ as an abstract concept, ‘things’ as such as not an object of expression, and ‘daily life’ that is different from classical narratives.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전적 영화에서 내면의식을 나타내는 사운드디자인 기법 연구
- 오즈 야스지로의 ‘일본적인 것’의 전후(戰後)적 의미
- 시네마 로보틱스 그리고 디지털 미장센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1970년대 초반 도시와 극장 위생
- 벨라 타르 영화 이미지의 시간의 형식에서 차별화된 양식 분석
- 오즈 야스지로의 <만춘(晩春)>과 홍상수의 <인트로덕션> 비교연구
- 균형-재균형 서사 구조에 따른 단편 애니메이션의 서사 초점 분석
- 아보우나따라의 긴급영화
- 영화 <기생충>의 음악적 변증법
- 인터페이스-스크린, 응시와 봉합 드러내기
- 대학 교육의 현재와 비대면 교육의 방향 연구
- 김일성 유일체제기 북한영화의 미국 표상 연구 (1972∼1994)
- 다르덴 형제의 영화적 현실 공간, ‘노동의 장’에 나타난 변증법적 헤게모니
- 영화연구 제90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