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터페이스-스크린, 응시와 봉합 드러내기

이용수  9

영문명
Interface-screen, the manifestation of gaze and suture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윤보협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90호, 283~31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가 주목하는 것은 인터페이스-스크린(interface-screen)의 효과와 미학이영화텍스트 내에 어떤 의미 맥락을 형성하는지 규명하고 역으로 응시(gaze)와 봉합(suture) 그리고 인터페이스-스크린의 개념을 분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라캉의 응시와 스크린 개념 등을 정리하고, 지젝이 조명한 영화이론의 토대인 봉합과 영화미학의 정수인 인터페이스-스크린을 이해하고 조명한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갖는 한계를 응시와 봉합 그리고 인터페이스-스크린의 개념적 어휘 안에서 분석함으로써 영화비평과 영화이론 그리고 영화예술 미학의지평을 확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주제가 ‘윤리’이고 스타일에서 의도적으로 ‘봉합과 응시 드러내기’를 표현한다고 평가되는 키에슬로프스키(Krzysztof Kieslowski)의 영화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동시대 거장 중에 하네케(Michael Haneke)와 봉준호(Bong Joon-ho)의 영화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순서로 수행된다. 첫째, 응시와 봉합 그리고 ‘인터페이스-스크린’의 개념을 정리하고 해석한다둘째, 키에슬로프스키의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1988)과 <살인에 관한 짧은필름>(1988)을 조명하고 해석한다. 셋째, 미카엘 하네케의 <하얀 리본>(2009)과 <아무르>(2012)를 분석하고 해석한다. 넷째, 봉준호의 <살인의 추억>(2003)과 <기생충>(2019)을 분석하고 해석한다. 다섯째, 세 작가의 작품을 통해 살펴본 응시와 인터페이스-스크린의 양상들과개념을 정리한다.

영문 초록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study what the effect and aesthetics of the interface-screen form within the film texts and to articulate the concepts of gaze, suture, and interface-screen in reverse. Slavoj Žižek particularly focuses on the effect of interface-screen intervention to prevent classical suture effects from working. This study does summarize Lacan’s gaze concept, and goes a step further to understand and establish the suture, the foundation of film theory illuminated by Žižek, and the interface-screen, the essence of film aesthetic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does analyze Krzysztof Kieslowski’s films of which the theme is “ethics,” not “moral,” and of which the style intentionally expresses “interfacescreen.” This paper sheds light on and interprets Kieslowski, Haneke and Bong Joon-ho among contemporary masters to gaug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face-screen’. This study i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is paper does organize and interpret the concepts of gaze, suture and ‘interface-screen’ as the absolute Other. Second, this paper does reinterpret Krzysztof Kieslowski’s (1988) and (1988). Third, this paper does analyze Michael Haneke’s (2009) and (2012). Fourth, this paper does analyze Joon-ho Bong’s (2003) and (2019) Fifth, this paper does organize the aspects and concepts of the interface-screen examined through the works of the three artist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인터페이스-스크린의 개념
3. 인터페이스-스크린의 사례
4. 세 작가의 작품을 통해 살펴본 인터페이스-스크린의 양상들과 개념정리
5.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보협. (2021).인터페이스-스크린, 응시와 봉합 드러내기. 영화연구, (), 283-319

MLA

윤보협. "인터페이스-스크린, 응시와 봉합 드러내기." 영화연구, (2021): 283-3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