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éla Tarr Movie Image’s Time Format Analisys in a Differentiated Form: Focusing o n Gilles Deleuze’s Image- Tim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박상조 김상용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0호, 187~22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존의 방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의 시간 짜기와 공간 짜기는 새로운 스타일의기본이 되고 영화의 정체성을 만든다. 벨라 타르(Béla Tarr) 영화 이미지가 시간의 형식에서 롱테이크를 기반으로 한 슬로우 영화의 범주라고 할지라도 그것이미학의 충분조건이 될 수 없다. 그의 이미지를 정의할 수 있는 개념어를 우리는찾아야 한다. 이는 영화 이미지가 사색적이며 철학적이고 예술적이라는 것을 충족하는 가장 적절한 용어를 말한다. 벨라 타르 영화는 예술적 독창성의 훌륭한예이다. 타르가 영화 자체에서 직접적인 지각과 심미적인 이미지를 창안하였기때문이다. 특히 감각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물질들을 독창적인 상징 구조로 찍어내었다. 아울러 벨라 타르의 영화 문법은 풍부하고 다양한 메시지와 함께 의미를 줄 수 있는 복잡한 쇼트의 조합을 만들어 내었고, 그러한 조합은 영화의 신비로운 면을 부각 시켰다. 터무니없이 긴 쇼트와 긴 상영시간은 그의 미학의 차별화된 양식이며 그것을 추동하는 핵심적인 개념은 바로 ‘시간-이미지’와 물질성이다. 몇 몇 연구들은 그의 영화 이미지를 ‘시간-이미지’와 극단적 사실주의로 정의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의 영화 미학의 정체를 시간-이미지로 규정하고 시작하려고 한다. 시간-이미지는 질 들뢰즈(Gilles Deleuze)가 앙리 베르그손(Henri Bergson)의 이미지의 잠재성으로부터 창안한 영화 이미지의 개념이다. 시간-이미지와 대립되는 것으로 운동-이미지가 있다. 운동-이미지는 지각하고(perceive) 느끼고(affect) 행동하는(act) 일련의 운동 과정을 연결하는 몽타주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인 반면, 시간-이미지는 그런 연결이 와해되거나 생략되어 나타나는 이미지를 말하는데 운동-이미지가 시간의 간접적인 이미지라면 시간-이미지는 시간의 직접적인 이미지라 하겠다. 그리고 그것의 구성요소로는 잠재태와 현실태, 결정체-이미지 등이 있다. 타르의 시간-이미지는 자율적이고 독립적이고 느슨하게 연결된 순수한 시지각적 이미지로 시작하여, 영화의 시공간의 질서와 사고의 흐름을 바꾸면서 자신의 물질적인 세계로 나아간다. 시간-이미지는 감독이자신의 미학을 완성하기 위한 하나의 모티프이다. 벨라 타르 영화는 들뢰즈의 시간-이미지의 깊이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이면서 모더니즘 영화의 미학적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들뢰즈의 이미지론을 통해서 벨라 타르 영화 이미지가 어떻게 운동-이미지에서 벗어나 시간-이미지가 되고, 사유-이미지를 통해 기존의 영화 문법을 바꾸었는지, 또 그 영화 미학이 추구하는 것은 무엇인지 이 논문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영문 초록
Time planning and space planning in a completely different way from the status quo becomes the baseline of a new style and form of the identity of the movie. Although Béla Tarr’s movie image is within the slow movie that constitutes long-take form, it is not sufficient as a condition of aesthetics. We need to find a conceptual word that can define Tarr’s image. This refers to the most appropriate term that illustrates that his film image is contemplative, philosophical and artistic. Béla Tarr’s movies are an excellent example of artistic originality.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arr created a direct perception and aesthetic image within the movie itself. In particular, he filmed sensuous and imaginative materials in a unique symbolic structure. What’s more, Béla Tarr’s film narrative has created a combination of complex shorts that can emit rich and diverse meaningful messages and such combinations further highlight the film’s mysterious element. The ridiculously long shorts and long screening time are the inimitable differentiations of his aesthetics, and the ‘Image-Time’ and materiality are the core concepts that drive this quality. A couple of research studies have defined his film image to be hinged on Image-Time and extreme realism. In this vein, this paper attempts to start by defining the identity of his film aesthetics as a image-time. Image-time is a concept of a movie image that was created by Gilles Deleuze, derived from the concept of image potential by Henri Bergson. There is the ‘Image -Movement’ which is in contrast to the image-time concept. The image-movement is a montage-based image that connects a series of movement processes that perceives, acts and affects (image-perception, image-action, and image-affection) while the image-time refers to an image in which such a connection is broken or omitted. If the image-movement can be understood as an indirect image of time, the image-time can be understood as a direct image of time. And its components include virtuel image and actuel image, and image-crystal. Tarr’s time-image begins with an autonomous, independent, and loosely connected pure visual image, and moves into its own material world by changing the order and flow of thinking in time and space within the movie. Image-time is one type of motif for the director to complete his or her aesthetics. Béla Tarr’s film is a classic example of Deleuze’s image-time’s depth that has inherited the aesthetic tradition of modernist films. To that end, through Deleuze’s theory of images,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how Béla Tarr’s film image has deviated from the image-movement to the image-time; how it has changed the existing film narrative through the concept of Image-Perception and the aesthetics that his film strives to attain.
목차
1. 들어가면서
2. 잠재태와 식별불가능성
3. 시간-이미지의 형태 (구성 요소)
4. 시간-이미지에서 사유로
5. 나가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전적 영화에서 내면의식을 나타내는 사운드디자인 기법 연구
- 오즈 야스지로의 ‘일본적인 것’의 전후(戰後)적 의미
- 시네마 로보틱스 그리고 디지털 미장센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1970년대 초반 도시와 극장 위생
- 벨라 타르 영화 이미지의 시간의 형식에서 차별화된 양식 분석
- 오즈 야스지로의 <만춘(晩春)>과 홍상수의 <인트로덕션> 비교연구
- 균형-재균형 서사 구조에 따른 단편 애니메이션의 서사 초점 분석
- 아보우나따라의 긴급영화
- 영화 <기생충>의 음악적 변증법
- 인터페이스-스크린, 응시와 봉합 드러내기
- 대학 교육의 현재와 비대면 교육의 방향 연구
- 김일성 유일체제기 북한영화의 미국 표상 연구 (1972∼1994)
- 다르덴 형제의 영화적 현실 공간, ‘노동의 장’에 나타난 변증법적 헤게모니
- 영화연구 제90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