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inema Robotics and Digital Mise-en-Scèn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석창 최원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0호, 225~25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로봇(Robot)은 생산성 증대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영화제작의 분야에서도 로봇의 시각적 표현과 차별성의 극대화라는 측면이 강조되어 인공지능, IoT, 빅데이터 등 지능정보화 산업 및 문화콘텐츠 산업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영상콘텐츠 생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네마 로보틱스(Cinema Robotics)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교하고 정확하게 카메라 움직임을 제어하는 영상 촬영 장비로 로봇 암 제어기술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정보 통신 기술)의 결합과 함께 촬영기술의 진보를 이루어내며 새로운 영상표현의 지평을 넓혔다. 그러나 시네마 로보틱스가국내에서 영화제작에 본격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본격적인 제작기법과 영상미학 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시네마 로보틱스의 고속 촬영과 High-Speed 카메라 움직임을 통해나타나는 특징을 미장센(Mise-en-Scène)의 관점에서 해석하였고, 그 과정을 통해시네마 로보틱스가 재현 방식의 확장과 느린 화면의 비선형적 경험 및 전지적 시점이라는 특징을 드러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시네마 로보틱스는 고속 촬영으로 숏테이크 영상의 시간을 확장하여 롱테이크영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빠르고 정확하게 제어되는 카메라 움직임은 롱테이크에서 아웃포커스가 물리적으로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고 줌 인과 트랙 아웃의결합이 유기적으로 일어나게 하여 영상 이미지의 심도를 조형적인 측면에서 왜곡시킴으로써 재현 방식의 확장을 이루어 낼 수 있게 만든다. 또한 고속 촬영과 High-Speed 카메라 움직임은 느린 화면의 일그러진 시간성과 찰나의 순간을 다각도에서 바라보는 전지적 시점으로 비선형적 체험을 관객에게 제공한다. 비가시적인 영역을 보여주는 고속 촬영은 시간의 확장으로 나타나는 비관습적인 장면으로 느린 화면을 제공하며 수용자의 관점을 변화시켜 수용자의 논리적인 세계를 무너뜨리고, 느린 장면은 추상적 특성을 발포하며 관객의 흥미를 유발하는 미장센으로 거듭난다. 또한, 시네마 로보틱스는 High-Speed 카메라 움직임으로 느린 화면 내에서 다각도로 피사체의 운동 에너지를 포착한다. 그리하여 관객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없던 사물의 움직임을 여러 각도에서살펴볼 수 있는 전지적 시점을 경험하게 된다.
영문 초록
Robot is utilized in various fields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vity. In the area of visual content production, the demand for new forms of visual content production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intelligent information industry involving artificial intelligence, IoT, and big-data and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s emphasizing the robot’s aspect of the visual expression and the maximizing differentiation. Cinema Robotics, which is a video recording equipment that uses a computer to precisely and accurately control camera movements, expanded the area of new visual expression by making progress in filming technology with the combination of robotic arm control technologies and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However, even though Cinema Robotics is actively used in film production, research on production techniques and visual aesthetics is insufficient. This paper interprets the characteristics of Cinema Robotics through high-speed cinematography and High-Speed camera movements on the perspective of Mise-en-Scène, and it discovered Cinema Robotics has the characteristics of expansion of representation, non-linear experience of slow motion, and omniscient viewpoint. Cinema Robotics extends the time of short-take video by high speed cinematography and converts it into long-take video, and with fast and precisely controlled camera movements, it creates an environment in which out-of-focus is physically possible and expands the reproduction method. In addition to, high speed cinematography and High-Speed camera movements provide the audience with a non-linear experience with an omniscient perspective that sees the distorted time and a moment of slow motion from multiple angles. High speed cinematography, which shows the invisible area, breaks down the audience’s logical world as changing the audience’s point of view with slow motion that is showed by an unconventional scene from expanded time. In this way, slow motion is reborn as a mise-en-scène that evokes abstract characteristics and arouses the interest of the audience. Moreover, Cinema Robotics captures the subject’s kinetic energy from multiple angles within a slow motion with High-Speed camera movements. So, the audience experiences an omniscient point of view where they can see the movement of objects from various angles which we cannot see.
목차
1. 서론
2. 시네마 로보틱스와 카메라 움직임
3. 디지털 미장센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전적 영화에서 내면의식을 나타내는 사운드디자인 기법 연구
- 오즈 야스지로의 ‘일본적인 것’의 전후(戰後)적 의미
- 시네마 로보틱스 그리고 디지털 미장센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1970년대 초반 도시와 극장 위생
- 벨라 타르 영화 이미지의 시간의 형식에서 차별화된 양식 분석
- 오즈 야스지로의 <만춘(晩春)>과 홍상수의 <인트로덕션> 비교연구
- 균형-재균형 서사 구조에 따른 단편 애니메이션의 서사 초점 분석
- 아보우나따라의 긴급영화
- 영화 <기생충>의 음악적 변증법
- 인터페이스-스크린, 응시와 봉합 드러내기
- 대학 교육의 현재와 비대면 교육의 방향 연구
- 김일성 유일체제기 북한영화의 미국 표상 연구 (1972∼1994)
- 다르덴 형제의 영화적 현실 공간, ‘노동의 장’에 나타난 변증법적 헤게모니
- 영화연구 제90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