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작 과제 수행 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운동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Motor Task Performance Training for improving Motor-skills of Children withCerebral Palsy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조규영 박화문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6권 제2호, 1~3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작 과제 수행 훈련이 뇌성마비아의 기초 운동 기능인 반사 운동 기능, 자세 조절 운동 기능, 이동 운동 기능, 물체 조작 운동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특수학교 초등부에 재학하고 있는 경직형 뇌성마비아 2명과 불수의 운동형 뇌성마비아 1명을 대상으로 특수학교 교육과정 영역인 치료교육 활동 시간에 동작 과제 수행 훈련을 약 5개월에 걸쳐 임상적 연구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동작 과제 수행 훈련을 통해 뇌성마비아의 발달 지원적 차원에서 동작 과제 수행 훈련을 실시하고 아동 자신이 자신의 신체 기능에 대한 동작 학습을 의도→ 노력 →신체운동이라는 일련의 심리적 과정이 통해 과도한 근육의 긴장과 부적절한 긴장을 해소함으로써 적절한 동작 과제 수행을 실시하게 되었다. 동작 과제 수행 훈련은 동작 학습 오류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법을 통해 동작을 뇌성마비아의 운동 기능 향상에 필요한 반사운동 기능은 뇌성마비아의 수의적인 운동 향상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자세조절 운동 기능은 신체 부위의 이완 상태의 유지 발전은 신체 조작 능력이 향상되고 운동 기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동 운동 기능은 G패턴이 심한 아동은 동작 과제 수행이 장시간 유지가 곤란함을 알 수 있다. 도한 물체조작 운동 기능의 향상은 식사 동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기능적인 동작 학습을 통해 동작을 제어하고 조절하는 능력은 운동 기능의 변화와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잇지만 평균적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otor task performance training for improving motor-skill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n the reflection, posture control, movement and object handling functions. For this purpose, The subject of this study selected 3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are attending elementary school for the disabled, who were trained motor task performance in the therapy education activity class for 5 months.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used MPMR(Model Pattern Motor Rating) which developed by Ando(1996). That are consisted of 4 items divided into 16 sub-categories. The effect of the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in motor skills has been investigated both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per each item and target child, thus the degree of motor-skills task performance has been studied per each child. Function of motor skills is developed through imitation of certain movements, thus through the mov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motor task performance training such function of motor skills is developed regardless of the individual motor-skills capacities.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or skills function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rough the series of motor-skills task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ellow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규영,박화문. (2004).동작 과제 수행 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운동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6 (2), 1-33

MLA

조규영,박화문. "동작 과제 수행 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운동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6.2(2004): 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