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반응성애착장애아 어머니의 내적실행모델과 애착유형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internal working model of relationships and attachment patterns of mothers with RA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명화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6권 제2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반응성애착장애아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에 따른 내적실행모델과 애착유형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반응성애착장애로 진단된 만 3세에서 만 6세까지 아동의 어머니 23명이었으며,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에 따른 내적실행모델은 성인애착면접지(AAI)을 이용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면접을 실시하였고, 애착유형은 성인애착척도(AA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내적실행모델 유형은 비일관적이며 양가감정을 보이는 유형이 47.83%로 가장 많았고, 안정 유형과 불안정 유형으로 대별해 보면 불안정 유형은 82.61%로 안정 유형 26.09%보다 더 많았다. 어머니의 애착유형별 분포는 안정애착이 39.1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불안양가애착이 34.78%으로 나타났다. 안정애착과 불안정애착을 비교하면 불안정애착이 60.87%로 안정애착보다 더 많았다.특히 불안정 유형 중 내적실행모델의 비일관적/양가 유형과 애착유형의 불안양가유형 간에 30.43%의 일치율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rnal working model of relationship and attatchment patterns of mothers with RAD(Reactive Attachment Disorder) children. The subjects were 23 mothers with RAD children aged 3-6. AAI(Adult Attachment Interview) was used to analysis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 of relationship.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AAS(Adult Attachment Scale) was used to asses mother's attatchment patterns.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 were founded more insecure-pattern(82.61%) than secure-pattern(26.09%). The most of insecure-pattern were inconsistent/contracted-pattern(47.83%). Mother's attatchment patterns were reported more insecure attachment(60.87%) than secure attachment(39.13%). The most of insecure attachment were inconsistent/contracted attachment(34.78%). Exact inconsistent/contracted-pattern and inconsistent/contracted attachment agreement was observed in 30.43% of the dya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아동의 구어 습득을 위한 청각-구어법
- 동작 과제 수행 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운동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언어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말하기.쓰기 활동을응집구조 및 자기발화수정 능력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도시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 청각장애학교 언어교과서 활용 실태와 문제점 분석
- 장애아동 통합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ABC를 활용한 장애아동의 교수-학습 방법 적용방안
- 반응성애착장애아 어머니의 내적실행모델과 애착유형에 관한 연구
- 운동이 정신지체인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검사(K-ADHDDS) 표준화 개발 및 웹기반 평가시스템 개발
- The Background on Support-centered Approaches in Education for Mentally Retarded Education and a Direction to Apply It
- 장애인을 위한 재활보조공학의 이해 및 발전방안 연구
- 언어치료 교육의 역사와 언어치료 교육 교사의 과제
- 학습장애 영재의 연구 동향과 연구 내용 분석
- 교육경력에 따른 정신지체 교육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인식수준
-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와 공감능력과의 관계
- 귀인훈련이 지체부자유아의 학습된 무력감과 통제소재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