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가 도시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n th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the Deprived Children by Structured Group Art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조용태 이근매 이도균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6권 제2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구조화된 집단미술치료가 도시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는 것이다.연구 대상자는 D시의 저소득 계층이 밀집된 지역에 있는 공부방에 다니는 초등학교 2-3학년 남자 아동 가운데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이 낮은 아동 4명이다. 이들은 자아존중검사와 사회성 검사 각각에서 중앙치 이하의 점수를 얻은 아동이다. 본 연구에 적용된 구조화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3단계 13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보조자 1명과 관찰자 2명이 참여하여 프로그램의 수행과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구조화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대한 효과,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구체적인 연구문제이다. 또한 각 회기별 진행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나타나는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 세 번째 연구문제이다.이상과 같은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구조화된 집단미술치료는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으며, 사회성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회기별 진행과정에서는 C1과 C2는 매우 친밀하게 되어 서로 배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C4의 공격성이 감소되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구조화된 집단미술치료는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용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n th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the deprived children by structured group-art therap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made form review of the literature, as follows; First, an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self-esteem of the deprived children by structured group art therapy. Second, an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sociality of the deprived children by structured group art therapy. Third, an investigate the behavioral changes into deprived children in process of each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To answer the questions, 4 children who are studying into study room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 method used at this study was cas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ructured group art therapy on self-esteem of deprived children found that was positive effects. Second, structured group art therapy on sociality of deprived children found that was positive effects. Finally, there was changed in intimacy and care of the subject C1 and C2 in process of each sessions. And, aggressive behaviors of the subject C4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아동의 구어 습득을 위한 청각-구어법
- 동작 과제 수행 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운동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언어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말하기.쓰기 활동을응집구조 및 자기발화수정 능력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도시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 청각장애학교 언어교과서 활용 실태와 문제점 분석
- 장애아동 통합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ABC를 활용한 장애아동의 교수-학습 방법 적용방안
- 반응성애착장애아 어머니의 내적실행모델과 애착유형에 관한 연구
- 운동이 정신지체인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검사(K-ADHDDS) 표준화 개발 및 웹기반 평가시스템 개발
- The Background on Support-centered Approaches in Education for Mentally Retarded Education and a Direction to Apply It
- 장애인을 위한 재활보조공학의 이해 및 발전방안 연구
- 언어치료 교육의 역사와 언어치료 교육 교사의 과제
- 학습장애 영재의 연구 동향과 연구 내용 분석
- 교육경력에 따른 정신지체 교육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인식수준
-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와 공감능력과의 관계
- 귀인훈련이 지체부자유아의 학습된 무력감과 통제소재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