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 아동의 구어 습득을 위한 청각-구어법
이용수 0
- 영문명
- Auditory-Verbal Approach for Spoken Language Acquisition i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수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6권 제2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신생아 선별검사와 보청기 및 인공와우 기술의 향상 등으로 청각장애 아동들이 조기에 구어를 듣고 배울 수 있는 가능성이 많아짐에 따라 청각장애 아동의 구어 습득을 촉진시키기 위한 청각-구어법과 청각-구어 치료 시 고려해야 할 구어 문제 그리고 초기 구어 습득을 위한 청각-구어 프로그램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첫째, 청각장애 아동의 구어 습득은 보청기/인공와우를 통하여 말소리의 7가지 특성을 충분히 들을 수 있을 때 촉진될 수 있다. 구어는 우선적으로 일련의 음향적인 사건이기 때문에 청각장애 아동이 잔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사, 언어치료사, 그리고 부모는 구어의 음향학을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둘째, 청각-구어법은 청각장애 아동이 적절한 구어를 발달시킬 수 있도록 보청기/인공와우를 통하여 아동의 초기 구어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어 문제를 치료 회기마다 진단하고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셋째, 청각-구어 프로그램은 부모 참여와 듣기를 통해 가장 자연스럽고 명료한 구어를 습득할 수 있다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으면서 아동의 듣기, 말하기, 언어, 인지의 영역별 목표들은 일상생활 활동에서 통합되도록 한다.
영문 초록
The majority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have hearing potential to develop spoken language with improved technology in newborn screening and hearing aids and cochlear implan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ethods, considerations, and programs of auditory-verbal approach to promote optimal acquisition of spoken language i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First, spoken language acquisition i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can be promoted when they can hear seven major aspects of speech sufficiently. As spoken language is primarily a series of acoustic events, teachers, speech therapists, and parents must understand the acoustics in order that the children may use residual hearing effectively. Second, auditory-verbal therapy sessions involve ongoing evaluation and prognosis of speech problems in the process of early language acquisition with hearing aids and/or cochlear implants to develop appropriate spoken language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Third, as auditory-verbal approach focuses on learning to talk through listening and parent participation, targets in audition, speech, language, and cognition are to be integrated into everyday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청각-구어법의 구어 촉진 방법
Ⅲ. 청각-구어 치료 시 고려해야할 구어 문제
Ⅳ. 초기 구어 습득을 위한 청각-구어 프로그램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아동의 구어 습득을 위한 청각-구어법
- 동작 과제 수행 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운동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언어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말하기.쓰기 활동을응집구조 및 자기발화수정 능력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도시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 청각장애학교 언어교과서 활용 실태와 문제점 분석
- 장애아동 통합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ABC를 활용한 장애아동의 교수-학습 방법 적용방안
- 반응성애착장애아 어머니의 내적실행모델과 애착유형에 관한 연구
- 운동이 정신지체인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검사(K-ADHDDS) 표준화 개발 및 웹기반 평가시스템 개발
- The Background on Support-centered Approaches in Education for Mentally Retarded Education and a Direction to Apply It
- 장애인을 위한 재활보조공학의 이해 및 발전방안 연구
- 언어치료 교육의 역사와 언어치료 교육 교사의 과제
- 학습장애 영재의 연구 동향과 연구 내용 분석
- 교육경력에 따른 정신지체 교육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인식수준
-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와 공감능력과의 관계
- 귀인훈련이 지체부자유아의 학습된 무력감과 통제소재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