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 평가 실태와 태도 및 인식 조사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Education Assessment of Exceptional Students in Middle School in Yeungnam area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손옥경 안성우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3호, 173~19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특수학급에서의 교육 평가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고 교육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 및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영남지방의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 167명이 본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부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은 평가 방법을 정확히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어서 학생들의 교육 평가를 제대로 실행하지 않는다고 반응하였다. 또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육 평가가 적절한 교육 활동이라고 생각은 하고 있지만 교육 평가 체제의 미비함과 다양한 교육 평가 방법의 부재를 이유로 소극적인 평가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국가 수준에서 다양한 평가방법 및 평가지침을 마련하고 나아가 교육 평가 활동에 대한 전반적이고 구체적인 체제를 구축하여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장애학생의 교육 평가를 원활히 실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bout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s of exceptional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their class career and the number of exceptional students they teach). 167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s through Yeungnam area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data was analyzed by computing frequency and percentage 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verification were use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m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on't evaluate exceptiona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ecause they don't know the proper method to evaluate. Exceptional students are mainly taught and evaluated Korean, math, transitional and communicational area. The most used evaluation method is observation. Secondly, mos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nk that the evaluation is very effective activity but they don't do that positively. Third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nk that the mainly needed evaluation area are Korean, math, sociability, communicational and transitional ability. Teachers recognize that the most two difficult things in evaluation are that there's not an official evaluation system and various evaluation method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s essential to develop the various evaluation methods and the proper evaluation system.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1. There should be the proper evaluation system and various evaluation methods for exceptional students in middle school. 2. There should be the official evaluation report forms for anyone to be able to recognize students' academic progress easi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이용 방해 요인 분석
- The Comparison of Motivation to Learn in Inclusive Reading Classes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 장애 대학생의 교수-학습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연구
- 특수교사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교직전문성 지각 및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학교 유치부 부모의 학교 참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평균대 운동 프로그램이 청각장애학생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ADHD유아에 대한 조기 판별 가능성 탐색
- 수정된 SQ3R 독해전략 훈련이 읽기장애 아동의 독해력 및 읽기인식력에 미치는 영향
- 다운증후군 아동의 명사 및 동사 인출과 이해특성
- 통합보육시설에서의 일반교사와 통합지원교사의 역할 수행과 협력
- 청각장애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학습기술 비교
-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 경력별 동료장학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특수학급학생의 중학교 전이기 지원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인식
- 특수교육과정 국어과에 기반한 그림책 읽기 및 놀이 연계 프로그램의 효과
- 지적장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 및 삶의 질에 대한 질적 연구
-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 평가 실태와 태도 및 인식 조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